전체1213 지상파방송사 사이트의 콘텐츠 비즈니스 지상파 방송사들이 인터넷 서비스를 본격화한 지 5년여가 지났다. 2000년을 전후로 KBS, MBC, SBS는 독립된 인터넷 방송 사이트를 구축하고,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새로운 채널로 자리잡았다. 방송사 사이트는 풍부한 영상 콘텐츠를 확보한 데 이어 콘텐츠를 멀티미디어로 가공, 유통하는 기술을 확보하는 등 인터넷 방송을 통한 노하우를 얻음으로써 다매체 환경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향후 2~3년 이내에 인터넷 방송이 공중파 방송을 추월할 것이라는 조사 결과도 나오는 등 인터넷 커머스 활성화를 위한 최적의 조건이 무르익고 있다는 평가가 잇따르고 있다. 디지털 케이블TV 및 위성방송, DMB, 와이브로 등 대체시장의 경계 지점에서 다양한 방식의 비즈니스를 열어야 할 과제가 생긴.. 2006. 1. 5. 인터넷신문도 '정치대결' 벼른다 인터넷신문들의 대결투가 다가오고 있다. 참여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예측 불가능한 정치변수에 상당수 인터넷신문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02년 한일 월드컵과 16대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는 극소수의 인터넷 언론이 사이버 여론을 주도하는 등 사회의제를 독과점했다. 이 과정에서 대안매체로 부상한 인터넷신문이 노무현 대통령 당선에 지대한 역할을 했다는 평가는 자타가 인정하는 바다. 그러나 불과 1~2년 만에 인터넷신문의 환경이 규모와 내용 면에서 급변했다. 2004년 탄핵정국 전후에는 연예 스포츠 콘텐츠 등 상업성 매체와 보수색 짙은 인터넷신문이 가세했고, 지역 인터넷신문의 창간이 이어졌다. 문화관광부에 인터넷신문으로 등록한 언론사만 해도 12월 현재 서울에서만 143개를 비롯 전국적으로 257개에 이른다.. 2005. 12. 28. 출판 소식 한국온라인신문협회 10주년을 맞아 '온라인신문, 경쟁과 공존'이라는 책이 나옵니다. 한국언론재단의 후원으로 만들어지는 이 책의 출판사는 커뮤니케이션북스입니다. 내년 1월15일경 출간될 예정입니다. 저는 여기서 '온라인미디어의 쟁점과제'-, 두 챕터를 담당했습니다. 제가 맡은 이 주제의 글들은 모두 원고지 80매가 넘습니다. 믿기지 않으시겠지만 2~3일만에 마무리지어야 하는 '살인적' 일정 때문에 충실하지 못했습니다. 내년에는 개인적으로 몇 권의 전문 서적 출판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번 경험을 통해 좋은 책이 나올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 책이 출판될 즈음에는 제가 맡은 부분의 내용을 블로그를 통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전문을 올리진 못할 것 같습니다. 뜻 깊은 마무리와 새해의 시작을 알.. 2005. 12. 22. [up] 황우석보다 참담한 '조중동' 황우석 교수의 줄기세포가 '가짜'라는 뉴스. 한국도 세계도 충격에 휩싸였다. 황우석 신드롬에 정면으로 도전했던 MBC PD수첩팀은 중단됐고 기자들은 징계를 받았다. 반전과 반전. 윤리와 진실 공방 속에 혼란스런 몇 주간이었다. 결국 진실이 드러난 셈이다. 그리고 황우석 신화의 좌절이라는 참담함 이면에 한국 언론의 부끄러운 면모도 떠올랐다. 이른바 국내의 최정상 언론을 자부하는 조중동은 '진실' 이전에 감정을 내세우며 MBC PD 수첩팀을 몰아세웠다. 그들은 '언론(인)의 자격'이 없다고 공격했다. 많은 독자들도 조중동의 거친 보도 앞에 MBC PD 수첩팀의 취재윤리 위반 비판에 가세했다. PD 저널리즘의 폐해라고 지적했다. PD 수첩을 중단하고 MBC 사장도 끌어 내리려 했다. 하지만 오늘 드러난 것은 .. 2005. 12. 15. 對포털 뉴스 공급 중단 핫이슈 될까? 신문사 닷컴을 중심으로 대포털 뉴스공급 중단 논의가 솔솔 흘러 나오고 있다. 또 포털 사이트도 미디어 전략에 변화가 예상된다. TV포털, 와이브로 등 플랫폼의 변화와 콘텐츠 수급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현업 종사자들은 2006년이 대포털 뉴스 제공 문제와 종전보다 차원이 다른 통합 뉴스룸 접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 등이 핫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내년 3/4분기가 중대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진단도 잇따른다. 한 신문사닷컴 고위 관계자는 "포털을 상다리 4개 중 하나 이하로 잡는 것을 골자로 지시했다"고 밝혔다. 특히 메이저 신문들을 중심으로 시장 구도 전환에는 포털 문제를 해소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결심이 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와 관련 한겨레신문 경영진은 포.. 2005. 12. 13. [펌] 인터넷언론 '정치적 입장 표명' 허용 쟁점 인터넷 언론 ‘정치적 입장 표명’ 허용 쟁점 포털 영향력 감안 기사심의제도 개선 필요 2006년도 지방선거 등 본격적인 선거철을 앞두고 인터넷 언론의 선거보도 심의 제도에 대한 쟁점들이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심의 대상에 포함돼 있는 포털 사이트들의 반발과 인터넷 신문의 특정 정당 지지를 허용할 것인지가 그 쟁점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는 2일 선거연수원 대강당에서 ‘인터넷언론과 선거보도의 공정성’이라는 주제로 인터넷기자협회, 인터넷신문협회, 온라인신문협회, 인터넷기업협회(포털부문), 지역인터넷언론연대 등과 합동 토론회를 개최했다. △공정성 확보, 정치적 입장 표명 허용으로‘인터넷 언론과 선거보도의 공정성’을 주제로 발제를 맡은 임종일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은 “사회적으로 다양한 주장.. 2005. 12. 7. 이전 1 ··· 158 159 160 161 162 163 164 ··· 20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