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1213

신문기업, 콘텐츠 코디네이터 필요 올드미디어(신문기업)의 고민과 시름이 깊어가고 있다. DMB를 시작으로 와이브로 등 포터블 디바이스(휴대 단말기) 환경이 눈 앞에 펼쳐져 있고, IPTV-DTV 등 인터액티브 홈네트워크가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신문기업의 뉴스조직으로는 새로운 시장환경에 걸맞는 콘텐츠 생산과 배포가 쉽지 않다. 신문기업은 나름대로 통합뉴스룸을 통해 멀티미디어 기반을 구축하려고 하지만 투자여력을 갖고 있는 곳이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일부 신문기업은 현재 동영상 뉴스 등 멀티형 콘텐츠 제작에 뛰어들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한 상태다. 국민일보 뉴미디어센터, 동아일보 등은 종이신문 기자, 온라인 담당자들이 참여하는 동영상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고, 조선일보 등은 이용자 참여 기반의 동영상 콘텐츠 확보를 위해 직접투자까지 감수.. 2006. 2. 28.
언론사(닷컴)-포털간 관계 변화 올까? 올해는 언론사와 포털사이트간 관계가 새롭게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우선 미디어 시장으로 IPTV, 와이브로 등 플랫폼이 속속 구현되면서 콘텐츠 수급 전략과 제작 방식에 변화가 예상된다. TV포털, 즉 IPTV는 동영상 포맷을 중심으로 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수요를 폭발적으로 늘리면서 신문사(닷컴)에게 시련과 도전의 장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 와이브로, DMB 등 이동 단말기들은 콘텐츠 이용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적재적소에 가공해내는 콘텐츠 가공 및 기술 부문에 투자를 필요로 한다. 멀티미디어 플랫폼을 갖춘 방송 등 일부 신문사를 제외하면 새롭게 펼쳐지는 시장은 혹독한 고통을 줄 지 모른다. 특히 언론사가 보유한 자본력의 양극화는 뉴미디어 투자 수위를 더욱 첨예하게 대립시킴으로써 경영 및 시장의 위기.. 2006. 2. 27.
'폭언'의 시대 진보파들은 "(참여정부에 대해)신자유주의 하에서의 퇴행적 민주주의"로, 보수파들은 "좌파의 대중 선동 속에서 형성된 신독재주의"로 규정하고 있다. 어디에서도 환영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노무현 대통령 지지층은 "'노무현'의 가치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고 반응한다. 노 대통령이 언급한 "새 시대의 첫차이기 보다는 구시대의 막차가 되겠다"는 결연함을 되뇌인다. 구시대는 노 대통령의 표현을 빌면 '특권과 반칙의 시대'다. 폭압적 권력과 부조리가 만연한 시대다. 3공화국, 5공화국처럼 생각과 의견이 다른 세력을 총으로 고문으로 쓸어내는 폭정의 시대였다. 그때는 지성이 없었고, 참스승이 없었으며, 소통이 차단됐다. 그대신 극단주의와 무정부주의, 반합법적 투쟁과 데모가 지식계를 풍미했다. 이른.. 2006. 2. 23.
오마이뉴스-日소프트뱅크 투자계약의 의미 온라인미디어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오는 22일로 창간 6주년을 맞는 오마이뉴스는 22일 "소프트뱅크(대표 손정의)와 총 110억원(1천1백만달러) 규모의 투자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오마이뉴스 오연호 대표는 이날 오전 긴급 기자간담회를 통해 "시민참여저널리즘 모델을 세계화하기 위해 전략적 제휴를 맺고 21일 520만달러 투자를 받은 데 이어 3월중 나머지 투자도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오 대표는 "지난해 9월부터 6개월여의 실무협의를 거쳐 지난 14일 소프트뱅크 도쿄 본사에서 투자계약서에 서명했다"고 말했다.(more) 오마이뉴스-소프트뱅크의 짝짓기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특히 올드미디어에게는 지식대중과의 커뮤니케이션과 창조적인 오너십의 과제를 제시한다. 전통적인 올드미디어들도 최근 CRM(독.. 2006. 2. 22.
브로크백마운틴 나는 얼마나 벗어나 있는가, 이 위대한 것들로부터. 2006. 2. 17.
[펌] 온라인미디어 10년…과거의 기록 온라인미디어 10년… 과거의 기록 [새책] 온라인신문, 경쟁과 생존 (커뮤니케이션북스 펴냄) 권혜선 기자 sunny7087@mediatoday.co.kr 한국온라인신문협회(회장 김수섭·온신협)가 신문뉴스의 인터넷 전파 10돌을 맞아 온라인신문의 현황과 남은 과제를 짚어보는 (커뮤니케이션북스)을 펴냈다. 신문닷컴사, 인터넷신문, 미디어비평지 등 다양한 매체에서 활약하고 있는 9명의 기자들이 공동저자로 참여했다. 김은국 인터넷한겨레 미디어편집팀장, 안신길 세계닷컴 기자, 박창신 조선일보 기자, 조대기 이슈아이 편집국장, 김명수 인터넷한겨레 콘텐츠팀장, 선호 미디어오늘 기자, 신한수 전자신문인터넷 기획팀 차장, 최진순 한국경제미디어연구소 기자, 이승훈 전 국민일보 쿠키뉴스 기자, 차정인 기자협회보 기자 등 9.. 2006. 2.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