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1213

스포츠 신문 등 엔터테인먼트 올드 미디어의 생존 전략 한 연예전문 온라인 신문이 동영상 장비 구매 등 비디오 뉴스 강화에 치중하려던 전략이 무리한 투자로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고 한다. 신문기업들도 너나 할 것 없이 통합뉴스룸이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이 뉴스조직의 경영위기를 극복하는 유일한 대안인가? 한 스포츠신문사 웹 서비스 관계자와의 이야기를 통해 그 단면을 정리해봤다. K : 확실한 건지는 모르지만, 온라인 신문사가 살아남는 방법을 찾는게 어렵습니다. 최 : 동감입니다. 외국처럼 교양적인 콘텐츠 소비자(뉴스 콘텐츠 유료 지불 의사를 표명하는)가 넓게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시장 불륨 자체가 크지도 않습니다. 또 포털이 유통시장을 장악한 시점에서 포털에 기생하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으로 콘텐츠 프로바이더가.. 2006. 3. 20.
신문기업, 뉴미디어 전략의 과제 올드 미디어인 신문기업의 위기가 가속화하고 있다. 신문 구독자가 늘지 않고, 인터넷 등 뉴미디어의 시장잠식이 계속되고, 뉴미디어 투자여력 부족 등 내외부의 여건이 크게 좋지 않다. 신문기업이 뉴미디어에 대응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 1995년을 전후한 시점이다. 당시에는 국가사회적 네트워크 초기 단계에서 등장한 PC통신으로 뉴스 정보를 전송하거나 기업, 금융 등으로 정보판매를 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1995년은 웹 뉴스 서비스가 신문기업의 중심적인 과제로 떠올랐고, 대부분의 신문기업 내부에 관련 부서가 생겼다. 전담자들은 조사자료부, DB 및 전산 관련 부서, 과학부 기자들이었다. 이들이 신문기업 초반의 뉴미디어를 주도했다면, 1999년은 뉴미디어 부문에 새로운 인력이 유입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즉, .. 2006. 3. 20.
[펌] 언론사 블로그, 조선 '독주' 언론사 블로그, 조선 ‘독주’랭키닷컴, 블로그 순위 분류[ 차정인 기자 / presscha@journalist.or.kr ]언론사 블로그 사이트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조선닷컴의 블로그 인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랭키닷컴은 지난해 12월부터 순위 정보 리스트 ‘뉴스 & 미디어’에 ‘언론사 블로그’ 분류를 신설했다. 랭키가 분류하고 있는 언론사 블로그는 디지털타임스, 미디어칸, 블로그정글, 세계, 스포츠조선, 연합, 오마이, 전자신문, 조선, 한국 등 모두 10개 사이트다. 이 가운데 10일 현재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블로그는 ‘조선 블로그’. 조선은 10개 사이트 가운데 점유율 56.53%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 평균 방문자수는 4만6천3백24명, 일 평균 페이지뷰는 2십4만9.. 2006. 3. 15.
올드 미디어 "자신부터 알아야" 포털 사이트에 대한 '거친' 관심이 어느때보다 고조되는 분위기다. 주요 신문, 방송이 포털 사이트를 어떻게 요리(?)해야 할지 고민이 대단하다. 최근 몇몇 언론사로부터 포털 사이트에 대한 자문을 요청받고 장시간 이야기를 나눴는데, 결국은 포털 사이트의 위력에 대한 '경계심'을 품격 있게 포장하는데 모아졌다. 지난 8일 경향신문은 '포털 뉴스 공급은 신문 제 발등 찍기'라는 기사를 통해 "신문기업이 현재와 같은 기사제공을 해서는 안된다"면서 가장 먼저 '포털 뇌관'을 터뜨렸다. 물론 그 기사는 종전의 주장을 되풀이 정리한 것에 불과했지만 현재 올드 미디어-포털 간의 촉발적 상황을 느끼기엔 충분했다. 올드 미디어 관계자들은 "포털 때문에 우리가 고통받는다"는 볼 멘 소리를 쏟아냈다. 이에 대해 한 포털 사이.. 2006. 3. 9.
"신문-포털 대타협해야" 최근 세계신문협회(WAN)는 포털 사이트가 신문기업 등의 콘텐츠를 헐값으로 받아 부당이익을 취하고 있다면서 이에 대응할 TF팀을 구성할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언론 유관 단체들도 대포털 전략을 재조정하기 위해 머리를 맞댈 채비를 하고 있다. 쟁점은 ‘공급단가’ 문제다. 그러나 핵심은 포털 사이트에 콘텐츠를 계속 제공해야 하느냐다. 사실 포털 사이트와 ‘올드 미디어(Old Media;신문, 방송)’간의 격차는 극복할수 없을 만큼 벌어져 있다. 콘텐츠의 내용과 형식, 이용자들의 반응, 마케팅의 파워 등에서 온라인은 이미 ‘포털’의 차지가 됐다. 영향력이 커진 포털 사이트에 대해 많은 진단이 있었다. 포털 사이트의 이용자 유입 배경도 설왕설래가 잇따랐다. 포털 뉴스 편집권 논란에서 촉발된 ‘포털 저널리즘’을 .. 2006. 3. 6.
[펌] 공짜뉴스는 끝났다 2006년 5월00일, 주식 투자를 하는 샐러리맨 ㅇ씨는 자신이 투자한 기업이 비리 의혹에 싸여 있다는 소문을 듣고 그 기업과 관련한 과거 기사를 검색하려고 한다. 그러나 웬일인지 포털 뉴스에서는 닷새 치 이전 기사를 단 한 건도 찾을 수가 없다. 당황한 ㅇ씨가 한겨레 홈페이지에 접속해 기사를 검색했더니 이번에는 경향신문 국민일보 등 40개 언론 매체가 보도한 해당 기업과 관련 기사들이 모두 뜬다. ㅇ씨는 기사 한 건당 몇 십 원의 요금을 내고 정보를 얻었다. 올해 상반기에 ‘아쿠아 아카이브(Aqua Archive)' 사업이 실현되면 벌어지게 될 일이다. 아쿠아 아카이브 사업은 현재 신문 업계를 중심으로 구축되고 있는 뉴스 데이터베이스(DB) 통합 및 저작권 신탁 프로젝트다. 원래 아쿠아 프로젝트란 조인.. 2006. 3.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