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1213

日本신문 타깃 분명…경영효율화 주력 지난 14일부터 19일까지 일본 신문 경영사례를 둘러볼 기회를 가졌다. 일본신문의 위기는 아직 한국처럼 심각한 수준은 아니었다. 그러나 인터넷 등 뉴미디어의 범람으로 구독자와 광고시장의 축소가 진행되고 있었다. 일본신문협회가 내놓은 '2005일본신문데이터북'에 따르면 30대 미만의 신문구독 시간이 줄어드는 등 발행부수 감소와 함께 심각한 문제로 脫신문 경향이 고조되고 있다. 일본신문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 신문이탈을 어떻게 풀어나가고 있는지 살펴 보았다. 일본신문업계의 위기 극복 방향은 제작공정을 효율화하는 등 경영효율화와 독자들과 더 가까운 콘텐츠 제공 등 크게 두 가지로 꼽을 수 있다. 마이니치신문(구 도쿄니치니치신문)에 이어 일본에서 두번째로 역사가 오래된 야마나시니치니치신문은 CTP(Compu.. 2005. 11. 23.
디지털시대 뉴스생산전략을 위한 언론인 인식조사 안녕하십니까. 저는 **대학교 ***교수입니다. 현재 신문협회가 발주한 디지털 뉴스생산전략에 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를 위해 언론인 여러분들의 인식조사를 하고자 합니다. (중략) - 독립인터넷뉴스, 포털, 블로그 등 온라인의 새로운 정보제공자들이 등장하면서 오프라인뉴스시장이 줄어드는 대신 온라인시장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특징은 무엇이며 이들로 인해 일어나는 뉴스산업의 변화 가운데 특히 주목해야할 현상들은 어떤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독립인터넷뉴스-1인 미디어-포털은 첫째, 전통적 저널리즘과는 다르게 보다 현장에 밀착하며 감각적이고 이미지 등 비주얼 중심의 콘텐츠를 다루는 등 차별성이 드러나는 저널리즘을 제공한다. 둘째, 이들은 이용자참여콘텐츠(UCC)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상호 .. 2005. 11. 21.
"태만하고 낡은 저널리즘 혁파돼야" "주류 언론은 왜 노충국 씨 사건을 바로 다루지 않았다고 생각하세요?" "인터넷 언론의 초기보도는 신뢰할 수 없다는 태만한 저널리즘, 그리고 취재원, 출입처와의 유대관계를 고집하는 퇴행적인, 고질적인 관행 탓이라고 생각합니다" "인터넷 언론은 이제 성장한 지식대중과 함께 주류언론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이들과 함께 협력하고 대화하는 모델을 만들어가야 할 것입니다" KBS-TV와 '대화'하다 2005. 11. 11.
[펌] 이용자가 원하는 기사 쓰는 시대 도래 "이용자가 원하는 기사 쓰는 시대 도래" 노컷뉴스 2주년 기념 심포지엄 “온·오프 통합뉴스룸이 전세계의 대세인지는 아직 의문이다. 적어도 미국의 뉴욕타임스는 향후 2년간 온·오프 통합뉴스룸 이행계획을 수립했고 2007년 봄에 통합하겠다고 밝혔다” CBS 노컷뉴스가 탄생 2주년을 맞아 지난 9일 서울 목동 방송회관에서 심포지엄이 열렸다. 주제발표를 맡은 김사승 숭실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온라인 강화전략을 선언한 뉴욕타임스(NYT)를 사례로 들어 뉴스룸 통합의 의미에 대해 설명했다. ▲ ‘전세계 저널리즘의 화두 - 온·오프 통합 뉴스룸을 말한다’를 주제로 지난 9일 서울 목동 방송회관에서 열린 노컷뉴스 2주년 기념 심포지엄. ⓒ권혜선 기자 김사승 교수는 "뉴스 통합룸은 뉴스조직과 생산문화의 통합을 의미하기도.. 2005. 11. 11.
웹 토론페이지에 기자 개입 중요하다 BBC 토론페이지, "운영자 개입 주목돼" 토론 페이지, 운영자 개입 정당한가? 지난달 선보인 BBC 웹 사이트의 코멘트 시스템(토론 참여-기사의견쓰기)은 두가지 타입이 혼용된 베타판을 내놨다. 일단 이 서비스는 비회원인 경우 기사의견 쓰기는 웹에 바로 노출되는 것이 제한된다. 회원인 경우 'reactivity moderated'에서는 바로 웹에서 노출될 수 있다. 또 'fully moderated'일 때는 운영자의 검토 뒤 노출된다. 그리고 기사의견 쓰기에는 이용자간 '추천'과 '불평(신고)'기능이 첨가됐다. 이같은 이용자들의 기사의견 쓰기에 편집자의 결론을 덧붙일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BBC의 기사의견 쓰기는 폭로, 광고 등을 금하는 등 'The House Rules'에 의해 엄격히 관리된.. 2005. 11. 9.
'종이신문의 미래를 생각함' 국내외에서 종이신문의 미래를 둘러싼 논의들이 쏟아지고 있다. 예컨대 2일밤 미국 콜롬비아대에서는 'The Changing Media Landscape, 2005'이란 주제로, 4일 한국언론재단에서 '신문의 위기-원칙으로 돌아가라'는 주제로 열린 토론도 마찬가지다. 아쉽다면 모두 미국에서, 또 미국인 학자의 입에서 전달되는 발언이라는 점인데, 그래도 우리가 여기서 확인해야 할 것이 있다면 바로 '이용자와의 접점 형성'과 '콘텐츠 혁신'이라는 점이다.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이 두 가지 테마가 나오게 된 배경에 대해서 미국의 미디어 전문가들은 '이용자의 통제'와 '쌍방향성', '인수 합병'이란 환경변화로 설명한다. 저널리스트가 독자들에게 기사를 전달하기 위해 뉴스를 선택하고 뉴스가 서열화하는 것은 독.. 2005. 11.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