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라인저널리즘416

미디어와 미디어비평 1. 오늘날 미디어는 무엇인가? 전통매체(아날로그 미디어) -> 정보독점 ->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이 지배 디지털 미디어 -> 정보공유 ->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 실현, 문화적 글로벌 측면이 지배 2. 미디어 비평지 역할 변화 과거는 취재, 보도 내용과 배경의 분석 -> 정보독점 기업과 정치, 경제, 사회권력간의 관계 오늘날은 취재, 보도 기법과 이용자-시장과의 관계 분석 -> 미디어와 네트워크간, 미디어와 참여지향적 지식대중간의 관계 3. 미디어 비평 콘텐츠 변화 사실 관계, 인과 관계, 권력 관계 조명에서, 전문적, 학문적, 논쟁적 접근 4. 수용자 변화 올드 미디어 문명 시대. 수동적 수용자. 정보 추적과 참여에 한계. 뉴미디어 문명 시대. 능동적 수용자. 정보 추적과 참여에 적극성. 5... 2006. 6. 2.
온·오프 미디어 양극화 우려된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지난달 24일 '인터넷이 바꾸는 미디어산업' 보고서를 통해 인터넷으로 뉴스를 보는 사람 중에서 인터넷 포털사이트를 이용하는 비율이 90%에 이른다고 밝혔다. 또 삼성경제연구소는 "전반적으로 노컷뉴스와 오마이뉴스, 쿠키뉴스 등의 신생 온라인 매체의 기사 클릭 수도 기존 신문에 비해 많았으며 인터넷 포털은 전통 미디어 기업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상했다"고 진단했다. 이 보고서는 신문기업에게는 특히 우울하게 전달되고 있다. 이는 가구당 신문 구독률(1998년 65%에서 2004년 48%)과 하루 평균 신문 읽는 시간(1998년 40.8분에서 2004년 34.3분)에서도 언급되고 있다. 특히 국내 인터넷 사용자 중 46.8%가 뉴스를 보는 주매체로 인터넷을 선호하고 있는 반면 신문은 6.9%에 그.. 2006. 6. 1.
한국적 신문전략, 이것이 해법이다 많은 사람들이 신문산업을 사양산업으로 분류하고 있다. 신문기업 내부 종사자들도 대체로 동의하는 분위기다. 상대적 박탈감으로 기자들의 이직 행렬이 줄지 않고 있는 것만 봐도 현장의 냉혹함은 섬짓하다. 스포츠, 연예 등 엔터테인먼트와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넘치는 뉴미디어 환경에서 종이신문 기자도 입지가 더욱 축소되고 있다. 독자들도 신문구독을 줄이고 있다. ‘자전거 신문’ 등 경품 위주의 왜곡된 신문유통이 근절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젊은 층은 인터넷에 빠져 들었다. 특히 인터넷신문의 범람은 정보의 양을 늘리데 그치지 않고, 스스로 미디어가 되려는 집단지성의 역동적 활동공간으로 확장하고 있다. 20세기 말부터 미래학자들은 IT기술의 발전으로 신문이 망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렸다. 그러나 엄연한 사실은 신문의 존재.. 2006. 5. 25.
위기와 기회 경계선에 선 신문사 닷컴-'속도' 버리고 '내실' 다져라 종합일간지 등 100여 개 신문사에서 인터넷 뉴스 서비스, 수익모델 · 영향력에 한계… 특화된 콘텐츠 개발 절실 올해는 국내에 인터넷 신문이 선보인 지 11년째다. 1995년 3월 중앙일보가 국내 최초로 자사의 뉴스 콘텐츠를 웹 사이트에 서비스한 이후 대부분의 신문사들이 인터넷 자회사를 설립하는 등 온라인 시장에 진입했다. 서울에서 발행되는 종합일간지 11개를 비롯 스포츠신문, 경제신문, 지역신문 등 약 100개 이상의 신문사에서 인터넷으로 뉴스 서비스를 하고 있다. 여기에 문화관광부에 등록된 독립형 인터넷 신문 364개, 전문지, 잡지 등을 합치면 인쇄 매체의 웹 뉴스 사이트는 4월 기준 수천 개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신문기업들이 만성적인 종이신문 경영위기 구조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온라인 비즈니스에.. 2006. 5. 23.
신문의 경쟁력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업체인 MS가 권위지 뉴욕타임즈와 손을 잡은 것은 낯설지 않은 이슈를 제공한다. 그것은 ‘이용자와 시장’에 대한 것이다. 점점 다양한 채널과 쌍방향적인 기술, 지식대중들이 쏟아지는 가운데 종이신문이 현재까지 고유의 역할을 지키면서 성장할 수 있을 지 회의적인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종이신문이 앞으로 어떻게 변화해갈 것인가를 예단하기란 어렵지만, 적어도 종이신문 단독으로 생존하며 종사자를 배불리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에는 동의를 하게 된다. ‘신문의 혁신’이란 화두는 종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신문의 도전과 재구축을 의미한다. 이것은 근래의 몇 가지 일들을 경험하면서 더욱 자명해진다. 지난 2000년 시민 참여 저널리즘(Citizen Journalism)을 내건 ‘오마이뉴스’의 등장.. 2006. 5. 11.
포털사이트와 올드미디어의 이슈 5.31. 지방선거를 앞두고 포털 사이트 논란이 커지고 있다. 포털 사이트 비판 여론은 전통 매체가 주도하고 있다. 지난 1월 연합뉴스의 '포털문화 이대로 좋은가' 시리즈물에 이어 중앙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등 주요 신문을 중심으로 포털의 공룡화에 직격탄을 쏘고 있는 것. 공중파 방송사도 '포털 뉴스'의 폐해를 중심으로 '시사교양' 프로그램에 주요 코너로 다루고 있다. 지난달에는 주요 잡지들이 기획기사로 '포털 사이트'를 조명했다. 아래는 한국언론재단 KINDS 기사 검색에서 '포털'로 검색한 주요 기사들 목록이다. [광화문에서/권순활] ‘포털 권력’의 그늘 동아일보 2006.05.03 “포털뉴스 정치적 편향 감시해야” 자유언론인협회 발족 동아일보 2006.04.27 포털, ‘오보’는 가깝고.. 2006. 5.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