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라인저널리즘416

포털사이트와 시민저널리즘 인터넷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시행된 한 ‘인터넷 사용자 센서스 조사 결과(코리안클릭, 2005.9.)’에 따르면 만 7~65세 인구 중 73.8%가 인터넷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이상 중장년층도 인터넷으로 빠르게 유입되는 것으로 조사됐다.특히 인터넷 시간 점유율에서 주요 포털사이트 네이버, 다음, 네이트, 야후 등이 총 이터넷 이용시간의 47.8%를 차지하며 이용 집중도가 심화하는 가운데, 뉴스/미디어 사이트 전체는 3.2%, 종합일간지 사이트는 1.2%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포털사이트가 제공하는 미니홈피, 블로그 등 커뮤니티와 검색, 지식정보 등 킬러 서비스(Killer Service)가 이용자들을 유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포털사이트는 종합일간지 등 .. 2006. 7. 3.
포털뉴스 해법, 서두르면 안된다 포털뉴스, 이것이 해법이다 포털사이트 뉴스 서비스를 둘러싼 논란이 다시 점화하고 있다. ‘포털 뉴스’에 대한 공방의 핵심은 포털 뉴스를 저널리즘의 무대로 끌어올릴 것인가 여부 즉, 포털을 언론으로 규정할 것인가이다. 포털뉴스로 파생되는 여러 현상에 대한 분석과 개념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신문법 개정안은 통과됐고, 포털뉴스는 결과적으로 ‘법’의 사각지대에 놓였다. 포털사이트를 둘러싼 논란들을 사전에 충분히 거르지 않고 서둘러 처리한 결과로 재론돼야 할 여지는 있다. 최근엔 포털뉴스가 정치적, 사회적으로 편향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사회적 책임과 의무는 요구받지 않는 현재의 조건에서는 포털사이트가 위험한 권력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정치권도 포털사이트를 언론으로 간주하고 공.. 2006. 6. 22.
NYT의 디지털스토리텔링 NYT의 멀티미디어 뉴스 서비스가 또다시 인상적인 발자취를 남겼다. NYT는 홈페이지를 통해 알 자르카위 사망 관련 기사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두고 '쌍방향 정보(Interactive Feature)'를 선보였다. 쌍방향 정보에는 오디오, 사진이 결합된 서비스는 물론이고, 비디오 뉴스도 한 프레임 안에서 제공되는 등 콘텐츠 포맷이 서로 다른 뉴스가 모두 묶였다(패키지 서비스). 모두 알 자르카위 사망을 다루는 이 패키지 뉴스에는 AP통신의 동영상 콘텐츠가 결합됐다. 동영상 클립은 총 5개의 내용으로 준비됐다. 자체적으로 제작한 12장의 포토와 오디오는 동영상 콘텐츠와 적절히 안배됐는데, 인터넷 미디어의 특성을 잘 살린 슬라이드 형태의 사진과 오디오, 그리고 사진에 결합된 지도 등은 상황을 이해하는 데.. 2006. 6. 12.
스타기자가 생명줄 신문, 방송 기자들 중 대중의 인기를 끄는 기자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방송기자들은 빼어난 외모와 언변 등 이미지에서 호감을 끄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신문기자들은 상대적으로 얼굴이나 목소리 등 외형적인 것을 보일 기회가 없어 콘텐츠의 내용이 호감의 척도가 됐다. 그러나 인터넷 미디어 환경에서는 신문기자도 외모는 물론 전체적인 브랜드 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해가고 있다. 신문사 홈페이지와 기자 블로그를 보더라도 기자들이 자신의 사진을 올려놓는 일이 늘었고, 가족들까지 등장시키는 경우가 많아졌다. 기자들이 독자들과 더욱 친숙해질 수 있는 공간이 생긴 데 따른 것이다. 이 경우 신문기자가 매력적인 외모를 갖고 있다면 인터넷 미디어 환경에선 스타성의 요소를 기본적으로 갖췄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다양한 콘텐츠 .. 2006. 6. 12.
포털뉴스와 지방선거 연관성? 포털사이트 뉴스편집의 정치적 편향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자유주의연대'는 7일 5.31. 지방선거기간동안(5월16일~30일) 매일 4차례(10시, 14시, 18시, 22시)에 걸쳐 5대 포털사이트 뉴스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하면서 "강금실 후보에겐 우호적, 오세훈 후보에겐 부정적"인 편집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또 박근혜 대표의 피습을 두고 노혜경 씨의 "성형도 한 모양..."은 미디어다음만이 다뤘다는 등의 내용을 가지고 "선거관련 정치기사 보도의 형평성에 적지 않은 문제점이 발견"됐고, "보도의 형평성 등 사회적 책임은 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자유주의연대'의 발표를 인용, 보도한 동아일보는 "포털 입맛대로… 정치기사 편향" 기사에서 "일본인 납북자 요코타 메구미의 부친 방한(지난달 16∼17일).. 2006. 6. 9.
"통합뉴스룸은 다양한 고려가 필수적" 신문기업의 통합뉴스룸이 적합한 조직혁신에 포함되는지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그 이유는 통합뉴스룸이 바로 양질의 콘텐츠와 최적화한 비즈니스 결과를 가져오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국내 신문의 경우 통합뉴스룸의 기대감은 높지만 내부적인 준비가 전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되는 경우도 빈번하다. 이 결과 일부 신문이 진행한 뉴스룸 혁신이 조직 균열의 빌미가 되기도 한다. 그런데 규모가 작은 신문일수록 통합뉴스룸에 대한 의욕이 높다. 그것은 콘텐츠 혁신과 새로운 활로 모색이라는 전망을 가능하게 하는 유일한 출구라는 판단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부 신문의 통합뉴스룸 진행 사례를 볼 때 무리하고 무능력하며 무지하다는 '3無'에 도달할 수밖에 없다. 한 신문의 경우 지난해부터 추진해온 뉴스룸 혁신을 공간적으.. 2006. 6.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