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line_journalism

온·오프 미디어 양극화 우려된다

by 수레바퀴 2006. 6. 1.

삼성경제연구소는 지난달 24일 '인터넷이 바꾸는 미디어산업' 보고서를 통해 인터넷으로 뉴스를 보는 사람 중에서 인터넷 포털사이트를 이용하는 비율이 90%에 이른다고 밝혔다.

또 삼성경제연구소는 "전반적으로 노컷뉴스와 오마이뉴스, 쿠키뉴스 등의 신생 온라인 매체의 기사 클릭 수도 기존 신문에 비해 많았으며 인터넷 포털은 전통 미디어 기업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상했다"고 진단했다.

이 보고서는 신문기업에게는 특히 우울하게 전달되고 있다. 이는 가구당 신문 구독률(1998년 65%에서 2004년 48%)과 하루 평균 신문 읽는 시간(1998년 40.8분에서 2004년 34.3분)에서도 언급되고 있다.

특히 국내 인터넷 사용자 중 46.8%가 뉴스를 보는 주매체로 인터넷을 선호하고 있는 반면 신문은 6.9%에 그쳤다. 인터넷 사용자 중에서도 뉴스 사이트(언론사 사이트)에 들어오는 이용자는 고작 7%였다고 한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이를 "인터넷 포털이 강력한 블랙홀로 등장"했다고 묘사했다. 그러나 다른 의견도 있다. 뉴욕타임스 마틴 니센홀츠 디지털 부문 부사장은 "포털사이트는 헤드라인만 제공, 신문에 더 많은 독자 끌어다 주는 공존관계"라고 말했다.

한국적 상황을 고려하더라도 포털사이트와 전통매체인 신문, TV간의 관계를 적대적으로 보는 것은 무리다. 유통채널을 장악한 국내 포털 사이트는 이용자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부응하는 콘텐츠와 경로들을 갖고 있기 때문에 비교 자체가 온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개별 언론사들이 특색없는 콘텐츠를 쏟아내는데 불과해서 이용자들의 니즈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도 시장에서는 "속보성과 오락성이 높은 기사의 선호도가 높으며 기존 매체의 권위에 의존하지 않는 성향"이라고 진단했다.

최근 포털사이트는 소수 전문가들을 투입하기 시작했고, 지식iN 등 이용자들의 참여 공간을 더욱 확대하고 있다. 특히 스포츠, 연예 분야에서는 동영상 콘텐츠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고, 검색 서비스의 기능도 대폭강화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영상 분야가 인터넷과 결합될 경우 파급효과는 음악이나 신문에서 나타난 것보다 훨씬 클 것이라면서 향후 미디어 산업의 경쟁우위는 인터넷 영상의 주도권 확보에 따라 좌우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와 관련 신문기업이 동영상 콘텐츠를 어떻게 확보, 가공, 서비스할 것인지 주목된다. 분명한 것은 그것이 국내 시장의 규모와 이용자 특성, 경제성을 감안한 투자가 돼야 한다는 점이다.

또 이를 위한 뉴스조직의 선택에 있어서도 통합뉴스룸이 필요할지, 아니면 별도의 소수 조직으로 가져갈 것인지 등 개별 기업의 여건에 맞게 모델링 돼야 한다.

기자들의 참여방법도 최대한 업무 패러다임을 고려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지금의 것을 고수하면서 전통매체 기자들에게 새로운 방법을 요구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문기업은 시장의 관점에서, 콘텐츠의 관점에서, 내부조직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주요하게 점검해야 할 것이다.

- 신문기업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콘텐츠-비디오, 오디오가 수익을 낼 수 있는가? 낼 수 있다면 그 시점은 언제쯤인가?

- 신문기업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콘텐츠는 기존 TV 등 영상매체의 그것과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가?

- 신문기업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콘텐츠는 누가 어떻게 만들어갈 것인가?

- 신문기업이 뉴스조직을 통합한다면 그것의 궁극적인 목적은 비용절감인가 그렇지 않은가?

- 신문기업은 온라인(디지털) 분야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

삼성경제연구소는 현재 신문업계가 동영상 콘텐츠의 제작능력을 강화하고 있고, DMB-IPTV 등 다양한 플랫폼에 콘텐츠 제공을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영상과 무선을 중심으로 하는 미디어산업의 재편과정에서 신문기업이 어떻게 성장할 수 있을지는 '개인형-맞춤형' 콘텐츠가 큰 흐름이라든가, 이용자와의 접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새로운 스타일을 창조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구축이 관건이라는 식으로 원론적인 결론을 맺었다.

현재 대부분의 국내 신문기업들은 자원관리가 최적화 돼 있지 않을 뿐 아니라 디지털 인프라에 대한 소통과 참여가 충분하지 않다. 일부 신문사를 제외하면 독자 관리도 돼 있지 않다.

신문기업의 처지로 보면 자본 여력도 없는 상황에서 미디어산업의 진정한 격동기를 맞고 있다. 어떻게 보면 국내 신문기업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첫째도 둘째도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는 리더십과 조직혁신이 아닐까,라는 판단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잉여자금을 효율적으로 디지털 부문에 투자하면서 현실적으로 공생관계를 가질 수 있는 채널들을 통해 실익을 챙기는 접근도 요구된다.

물론 삼성경제연구소가 지적했듯이 신문방송 겸영 허용 등 큰 틀에서의 제도적 변화로 뉴미디어 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조건이 필요하다는 지적에도 공감한다.

현재 신문시장의 양극화는 자칫 디지털 부문에도 이어져 더욱 더 큰 사회적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신문과 그 콘텐츠는 역사적으로 사회적 다원성과 민주주의를 지키는 보루였다. 인터넷 신문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한국적 특수성을 고려해 저널리즘과 정치권력간의 관계를 냉정히 검증, 보완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필수적이다.

아울러 전체 신문기업을 살리는 투명하고 지속적인 정책입안을 위해, 신문발전위 등에서 보다 현장 전문가들의 조언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2006.6.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