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라인저널리즘416

신문기업을 살리는 길 지난 십여년간 국내외 언론은 인터넷을 향한 전쟁으로 지쳤다. 게다가 규모의 경제가 불가능한 한국신문은 그간 인터넷에서 수행한 전략적 오류로 말미암아 상당히 치명적인 상처를 입었다. 인터넷 서비스가 도입되던 1990년 후반 신문사 인터넷 서비스는 신문기사를 전재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언론사 닷컴기업들 대부분은 ‘엘도라도’를 꿈꾸며 무차별적인 기사제공, 광고 영업으로 ‘수입’을 챙기느라 분주했다. 그러나 포털사이트와 독립형 인터넷신문이 쏟아진 2002년 후반기를 지나면서 그러한 인터넷 운영이 잘못된 것임을 깨닫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상당한 닷컴기업에서 구조조정이 뒤따랐고 콘텐츠와 저널리즘을 고민하게 됐다. 최근 주요 신문사닷컴은 서비스의 차별화를 기하고 있다. 편집국 기자가 직접 참여하는 동영상 서비스는 .. 2006. 9. 8.
멀티미디어 저널리즘 멀티미디어 저널리즘을 위해서는 어떤 일이 필요할까? 보스톤 글로브지의 기자인 이메일 스위니가 최근 에디터앤퍼블리셔 칼럼을 통해 뉴미디어 저널리즘에서 취약한 부분을 경험하면서 터득한 노하우를 공개했다. 그녀는 어떤 뉴스룸에 있든 신문기자들이 포드 서비스나 VOD 캐스트 등 관련 기술을 배우면서 필요한 7가지 가이드라인을 밝혔다. 그녀는 스스로 웹 사이트를 만들어 볼 것, 블로그를 시작할 것, 네트워크를 확장시킬 것, 비디오를 촬용할 것, 구글 맵을 활용해볼 것, 인터뷰나 편집때 디지털 기기를 사용할 것 등을 주문했다. 또 이야기를 선택->스토리 보드 작성->취재->편집->조합(assembling) 등 다섯가지 단계에 대한 숙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녀가 꼭 들러보라고 말한 웹 사이트에 나온 멀티미디어 .. 2006. 9. 7.
[펌] 기자는 멀티플레이어 영역 확대? 업무 과부하? 기자는 멀티플레이어언론사마다 디지털장비 지급 등 취재역량 강화 ‘기자들의 영역확대인가. 업무의 과부하인가.’ 이종매체 간 융합이 급격히 진행, ‘원 소스 멀티유즈’가 언론계 키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기존 ‘펜’으로 상징됐던 신문 기자들에게도 캠코더가 지급되고 있을 뿐 아니라 그 이상 취재장비가 지급되면서 역할변화가 불가피해졌다. 이 때문에 기자 역할도 단순 취재 이상으로 ‘멀티 플레이어’로서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는 추세다. 더구나 신문시장 위기와 맞물려 기자들의 역할 확대는 기능적인 측면뿐 아니라 비용 측면에서 요구되는 시대적인 소명으로 변화하고 있다. 실제로 조선일보는 지난 6월 동영상 촬영을 위해 편집국 기자 20명에게 캠코더를 제공했다. 이번 장비 지급으로 .. 2006. 8. 17.
종이신문의 비디오 뉴스 열풍 신문기업의 비디오 뉴스 열풍이 일고 있다. 조선일보는 최근 20여명의 기자에게 캠코더를 지급, 콘텐츠 생산을 독려하고 있다. 중앙일보는 지난 5.31. 지방선거 당시 편집국 정치부 기자들이 참여하는 비디오 뉴스를 제작했다. 동아일보는 연내까지 비디오 뉴스 제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마련을 검토하고 있다. 비디오 뉴스 생산은 과거에는 신문사 닷컴이나 별도의 디지털 기구에서 진행됐다. 그러나 최근에는 종이신문 편집국이 직접 챙기는 양상이다. 중앙일보 온라인 뉴스 담당 기자 채용 선발에는 300명이 넘는 지원자가 몰렸다. 매일경제는 신설한 디지털 뉴스부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 강화를 검토 중이다. 신문기업이 비디오 뉴스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제가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종이신문에서 기자들의 주업무는 종이신.. 2006. 8. 11.
뉴욕타임즈와 국내 신문사(닷컴) 오는 11월 치러지는 미국 하원선거를 4개월여 남겨둔 시점에서 미국 주요 신문들이 선거 페이지를 오픈했다. 워싱턴포스트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 8개 요소로 의회 선거를 예상하는 페이지를 꾸몄다. 이에 따라 워싱턴포스트는 “The Elephant in the Room-The Abramoff Echo-Money Matters" 등의 관련 페이지들을 런칭했다. 이들 페이지는 종이신문과 닷컴 스태프에 의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뉴욕타임즈도 선거페이지를 화려하게 꾸몄다. 독자들은 일렉션 가이드(election guide)에서 쌍방향 맵을 통해 선거 레이스 현황을 볼 수 있다. 또 현재 격전지에 대한 여론조사 등을 통해 인상적인 전망기준들을 곁들였다. 미국의 양대 신문이 웹 페이지에 공을 들인 '선거' .. 2006. 7. 26.
[펌] What’s stopping innovation in today’s news media 전통매체인 신문, TV의 혁신은 뉴미디어 환경에서 대단히 중요한 가치이며 덕목이다. 그러나 재정적이고, 조직문화적이며, 기술적인 이유로 혁신이 지체되거나 수용되지 않고 있다. 한 저널리스트는 이러한 상황을 13가지의 압축적인 것들로 정의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매체 전통, 시장 환경에서 오는 문화적이고 구조적인 이슈들이 혁신을 저해한다는 것이 다를 뿐이다. 1. Short-term financial pressureMost breakthrough ideas are user-focused and technology-driven. They’re designed to fill a need and build an audience — not make a buck as soon as po.. 2006. 7.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