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1213 [펌] '포털' 개념 놓고 이견 '팽팽' 다음달 28일로 다가온 신문법 시행을 앞두고 시행령에 포함된 인터넷 신문 조항과 포털의 인터넷신문 포함 여부를 놓고 열띤 토론이 벌어졌다. 3일 프레스센터 12층 언론재단회의실에서 국회 문화관광위원회 주최로 열린 ‘인터넷 언론, 법과 현실사이의 괴리 어떻게 풀 것인가?’ 공청회서 참석자들은 신문법 시행령의 인터넷 등록 세부조항과 포털뉴스의 참여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대부분의 토론자들은 급변하는 뉴미디어시대에 신문법이 뒤쳐지고 있다는데 공감하고 새로운 규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러나 포털사이트의 인터넷신문 포함과 시행령 조항에 대해서는 일부 이견을 내놓기도 했다. 문광부 황성운 서기관은 인터넷 신문에 대한 신문법령 규정을 설명하며 “인터넷신문의 지위를 인정하여 책임성을 갖고 실질적인 언론 기능.. 2005. 6. 7. [펌] 포털 저널리즘 논의 "본격화돼야"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뉴스 서비스에 대한 개념 정리와 책임 강화에 대한 주장이 잇따르고 있다. 포털이 단순 뉴스 유통 기능을 넘어서 언론 영향력을 발휘한 사례도 속속 등장하고 있기 때문으로 국회도 이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한나라당 진영 의원은 2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포털의 뉴스서비스,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진 의원은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이미 인쇄매체를 대체할 정도로 일상화 되어있는 포털의 뉴스서비스를 둘러싼 논란을 점검하고 기성매체와 온라인 매체의 균형발전을 위한 지혜를 모으기 위해 토론회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발제에서 미디어다음 최정훈 미디어팀장은 “최근 포털 뉴스에서 연예와 스포츠기사의 비중이 높아 지나치게 뉴스를 연성화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 2005. 6. 7. [up] 오픈 미디어(open media) 논의에 대해 오픈 미디어(open media)는 미국에선 주로 공공저널리즘의 대안으로 설명되고 있다. 예컨대 기존의 거대 미디어를 소유한 재벌 등이 가진 언론이 아닌 Independent newspaper를 오픈 미디어의 범주에 넣는다. 매체 특성에 따른 구분, 즉 블로그니, 인터넷이니 하는 논의는 아니고, 자발적인 개인에서 부터, 특정한 훈련을 가지지 않은 시민들, 그리고 비판적 사고를 가진 지식인 등이 가담하는 매체를 일컫는다. 즉, 기존 주류 매체가 아닌 대안 매체를 모두 총칭해서 오픈 미디어라고 한다고 보면 된다. 또 하버마스의 논의들 중에는 오픈 미디어의 역할 중 하나인 여론형성, 숙의민주주의와 연관해서 판단하기도 한다. 공공저널리즘을 주창하는 학자들이 하버마스의 숙의민주주의 개념에 천착하는 경우이다. 현재.. 2005. 6. 7. "신문법, 인터넷 신문 현실 반영 못해" 지난 1월 오랜 진통 끝에 국회를 통과한 개정신문법 시행이 다음달(28일)로 다가온 가운데 개정신문법의 시행령이 새롭게 담고 있는 인터넷신문 법제화 관련 조항들에 대한 문제점들이 다양하게 제기됐다. 국회 문화관광위원회 김재윤·손봉숙·정병국·천영세 의원의 공동주최로 지난 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인터넷 언론, 법과 현실사이의 괴리 어떻게 풀 것인가’라는 주제의 공청회가 열렸다. 이날 공청회는 인터넷언론의 일상화, 포털의 권력화된 뉴스서비스 등 급변하는 언론환경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신문법의 인터넷언론 관련 조항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됐다. 토론자들은 각각의 이해관계에 따라 인터넷언론의 등록조항, 포털을 인터넷언론에 포함시키는 문제 등에서 엇갈린 해석을 내놓았지만 그 대안이 현행 신문.. 2005. 6. 6. '인터넷 언론, 법과 현실 사이의 괴리 어떻게 풀 것인가' 토론회 국회 문화관광위원회는 3일 '인터넷 언론 법과 현실 사이의 괴리, 어떻게 풀 것인가'란 주제로 공청회를 열었다. 이와 관련 인터넷신문 데일리안은 '인터넷신문, ´법제화는 됐지만…´'이란 제목으로 가장 먼저 보도했다. 그러나 발빠른 보도는 좋지만, 적어도 나와 관련된 내용은 왜곡된 것이다. 데일리안은 이날 오후 5시 현재, 나와 관련된 문장에서, "최진순 서울신문 인터넷부 기자는 "포털을 비롯한 새로운 인터넷언론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전문성을 무기로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있다”며 “포털 때문에 뉴스 소비가 폭발적으로 늘어났고 수많은 지식대중이 주도하는 ‘오픈미디어’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그러나 “인터넷언론은 정치적 도구로 남용될 여지도 많고 지나치게 상업적인 콘텐츠 생산에.. 2005. 6. 3. 한나라당 토론회 "포털 동지인가, 적인가" 네이버, 다음, 야후 등 국내 대표적인 인터넷 포털사이트의 영향력이 급증하면서 신문 등 기존의 인쇄매체가 생존의 위기에서 허우적대고 있다. 특히 전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의 정보화가 진행 중인 한국은 이미 인터넷 인구만도 3000만명을 넘어섰고 네티즌들의 87% 정도가 해당언론사의 닷컴이 아닌 포털사이트를 통해 뉴스를 접한다는 통계까지 나올 정도다. 이처럼 포털 사이트의 영향력이 막강해지면서 정치권에서도 포털의 뉴스 서비스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에 나섰다. 국회 과기정위 소속 진영 한나라당 의원의 주최로 2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는 ‘포털의 뉴스서비스,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주제의 전문가 초청토론회가 열렸다. 특히 이날 토론회에는 박근혜 대표와 강재섭 원내대표 등 한나라당 지도부는 물론 손봉숙 민주당 의원.. 2005. 6. 3. 이전 1 ··· 169 170 171 172 173 174 175 ··· 20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