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line_journalism

"종이신문은 잊었다"...<뉴욕타임스> 기자에게 강조되는 것

by 수레바퀴 2021. 4. 30.

 

'종이신문은 잊었다'는 <뉴욕타임스> 홈페이지. 

 

"종이신문은 잊었다."

<뉴욕타임스> 이야기는 한국언론에는 교과서나 다름없다. 대표적 혁신 언론사로 손꼽지만 가까이 하기는 부담스럽다. <뉴욕타임스>가 성취하는 것들이 한국 뉴스시장에서는 쉽게 다다를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시사점도 여전하다. <뉴욕타임스>에서 나오는 이야기를 허투루 흘려보낼 수 없는 까닭이다.

최상훈 <뉴욕타임스> 서울지국장을 통해 들은 이야기들 중에 생각나는 것들을 몇 가지 정리했다. 먼저 <뉴욕타임스>식 '모바일 퍼스트'다. 대부분의 기자가 웹사이트(모바일 포함)에 나가는 기사에 집중한다.

기자들이 출고과정에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남다르다. 기자는 자신의 기사가 출고되기 전 스마트폰 스크린에서 어떻게 노출되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기자 스스로 모바일에 노출된 자신의 기사 모양을 보는 과정이다. 단락이 길거나 빡빡한 상태인지 알 수 있다.  선호하는 '기사체'도 있다. '대화하듯' 친근한 스타일이다. 자체 조사에 따르면 독자는 어렵고 진지하게 폼잡는 기사를 보지 않는다. 독자의 2/3가 모바일에서 <뉴욕타임스> 기사를 읽는 만큼 고민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알고 있는 것과 모르는 것을 밝혀라

기자 교육 때 강조하는 부분도 주로 '가독성'에 집중돼 있다. 짧게 문장을 쓰고 '챕터'를 나눠서 쓸 것, 작은 제목도 달아서 글의 이해를 도울 것, 스토리 안에 미니 스토리(글 상자)를 넣을 것, 셀럽 등의 트윗 내용을 삽입할 것, 전문 공개도 할 것, 숫자를 인용할 것, 다양한 그래픽을 담을 것 등이다. 또 파악한 것과 모르는 것을 분명히 구분해 전할 것도 주문한다. 독자에게 명확히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일부 미국 매체처럼 기자의 소셜미디어 활동은 의무적으로 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인스타그램 등 기자 개개인의 소셜계정 활용은 권장한다. 독자가 <뉴욕타임스> 홈페이지를 직접 찾는 비중은 20%가 되지 않아서다. 60%는 페이스북, 트위터 등 일부 소셜미디어에서 유입된다. 참조로 월스트리트저널의 직접 방문자는 16% 정도다. 

미국 신문업계가 페이스북, 트위터를 통한 기사 유통에 적극적인 것은 "독자가 있는 곳에 직접 찾아간다"는 의미로 해석되지만 절박한 사정도 그만큼 있는 것이다. 독자가 <뉴욕타임스>를 찾도록 유도하는 등 '소비습관'을 형성하는 목적의 '뉴스레터'도 호주 독자를 겨냥한 것을 포함 현재 50여 종이나 된다. 

'라이브' 주력...'양'과 '질' 함께 고민

기사 제목(헤드라인) 달기에도 공을 들인다. 몇 번이고 수정하면서 구글 검색을 타고 들어오는 이용자 규모를 측정한다. 헤드라인 변화만으로 페이지뷰가 7배 증가한 경우도 경험했다. 아예 사람들을 불러모으는 연성 기사에도 부쩍 관심을 갖는다. 대표적 부서는 속보팀(Express Team)이다. 속보팀은 한국언론과 비슷한 일을 한다. 시시각각 중요한 거리를 찾아 보도한다. 재미있는 기사도 쓴다. 

<뉴욕타임스> 디지털 채널에서 요즘 각광받는 서비스 채널도 '라이브 브리핑'과 '라이브 채팅'처럼 '실시간성'이 두드러진다. 라이브 브리핑은 현장을 생중계하듯 기자가 200~300자 안팎으로 계속 상황을 중계, 설명하는 형식이다. 그중 가장 중요한 이슈는 상단에 고정할 때도 있다.

과거에는 가령 대통령 기자회견 직후 선임기자가 설명하는 기사를 쓴 뒤 내일자 지면에 연결해 보도했지만 지금은 '라이브'가 가장 핵심 스타일이다. 비슷한 유형으로 '라이브 채팅'도 있다. 기자들이 유튜브 라이브 댓글창 같은 공간에서 계속 사실을 정리해서 올리거나 해설을 곁들인다. 빠르게 대응하지만 독자가 원하는 것을 늘 체크한다.

'디지털'에 전력투구할 수 있는 비결

적지 않은 과제도 있다. 기자들에게 기사 발제시 텍스트 포맷인지 아니면 이미지 등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할 것인지 먼저 생각하라고 요청하지만 잘 되지 않는다. 기자들의 디지털 업무부담이 늘어나는 점도 거든다. 과거에는 웹 사이트에 기사가 필요하면 디지털팀에서 해당 주제를 맡는 부서의 기자에게 직접 연락해 출고를 요청했다. 물론 잘 이뤄지지 않았다. 현재는 기자가 일하는 부서의 데스크가 부탁한다. 상대적으로 호응이 좋다.

기자들은 '슬랙Slack)'으로 커뮤니케이션한다. 기사출고를 한 뒤 '스쿠프(scoop, 뉴욕타임스 CMS)'에 기사를 올렸다고 슬랙에 올린다. 기자들은 슬랙에서 어떤 편집자가 자신의 기사를 데스킹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때 신문 1면에 자신의 기사가 들어가야 한다고 경쟁하던 기자들도 디지털로 소통하는 등 대부분 온라인으로 일하는 상황이 됐다. 웹 사이트에 방문자를 늘려 광고매출을 일으키려고 했지만 실패(?)한 뒤 유료 구독자를 늘리는 것으로 큰 방향을 바꾼 결과다. 

재미있고 자극적인 기사와 고품질 분석기사, 그리고 아주 중요한 현안 기사의 페이지뷰를 비교하면 고품질 분석기사는 상대적으로 클릭수가 많지 않다. 그래도 <뉴욕타임스>는 이러한 기사에 힘을 실으라는 쪽이다. 수개월 걸려서 나오는 기사를 1년에 1~2건만 쓰는 기자도 있다. "샤넬 백이 수백만 개씩 팔리나. 트래픽이 나오지 않더라도 고급기사로 매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원칙 때문이다. 어려워도 '저널리즘'에 해답이 있는 것이다.

서울발 <뉴욕타임스>의 디지털 저널리즘은?

물론 돈을 내고 기사를 보는 독자들이 존재하는 미국시장과 그렇지 않은 한국시장은 엄연히 차이가 있다. <뉴욕타임스>는 퍼즐이나 쿠킹 등 미국인들이 선호하는 별도의 디지털 상품도 내놔서 '구독모델'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했지만 한국은 다르다. 최상훈 지국장은 "뉴욕타임스 구독자 750만명 가운데 온라인 전용 구독자는 670만명이다. 하지만 미국 전체의 신문구독자는 6500만명이다. 구독자 목표 1000만명을 내걸고 나아갈 수 있는 배경"이라고 했다.

<뉴욕타임스> 기자들은 2019년 한 해 동안 기사를 포함해 5만9000건의 콘텐츠를 생산했다. 팟캐스트 '더 데일리' 월간 청취자는 1000만명이다. 2020년 7월 자체 다큐멘터리 TV 프로그램을 제작해 동영상 플랫폼 훌루에서 상영했다. 여러 스타일의 콘텐츠를 다양한 플랫폼에 내놓는다. 양과 질을 동시에 추구한다. 핵심은 중요한 기사를 재미있게 쓰는 것이다. 기자들은 1700명에 달한다(블룸버그 2700명, WSJ-다우존스 등 1400명, 워싱턴포스트 800명). 기자해고도 반복된다. 

한편, 5월 10일 서울에 공식적으로 문을 여는 <뉴욕타임스> 서울 사무실은 속보 에디터를 둔다. 토픽 등 연성기사도 맡는다.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뉴욕타임스> 서울 사무실은 최대 30명 정도로 구성된다. 이는 서울로 아시아 뉴스조직을 옮기는 <워싱턴포스트>의 10명 정도와 비교하면 엄청난 규모다. <뉴욕타임스> 홍콩 지국에는 여전히 일부 인력이 지면제작 등을 이유로 남지만 서울은 사실상 '아시아 뉴스 허브'로 올라선다.

<뉴욕타임스>는 미국이 잠든 시간을 기준으로 런던 그리고 서울에서 각 8시간 정도로 기사를 다룬다. 즉, 서울은 <뉴욕타임스> 웹사이트의 8시간을 맡는다. <뉴욕타임스> 디지털 에디션-홈페이지, 모바일을 24시간 깨어있게 하는 구조다. 이달 초 최상훈 지국장의 문재인 대통령 인터뷰 기사는 한글로도 공개했지만 '번역품질 관리', '시장성' 등의 이유로 정기적인 '한국어' 기사 생산 계획은 없다.

서울발 <뉴욕타임스>의 디지털 저널리즘이 어떤 모습일지 주목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