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자의 질문에 답합니다

사회지도층 위주의 필자 전략 의미 있나?

by 수레바퀴 2015. 1. 14.


신문의 외부 필자 선정은 여전히 사회지도층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소셜네트워크에서 대중성을 갖고 있거나 평판(글쓰기 능력)이 좋은 일반인들을 적극적으로 껴안는 등 필자전략의 대변화가 필요하다.


지난주 한 미디어비평지 기자로부터 전통매체의 외부 필자 선정과 운용방향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 기사가 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아이템으로 선정되지 않았는지도 모를 일이다. 아무튼 두 말 할 필요도 없이 이제 필자전략도 한 단계 업그레이드 돼야 한다.


"사회지도층을 신문지면 칼럼니스트로 확보하는 것은 전문성-저명성이 이미 '검증'됐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하지만 이들의 글-관점이 매체 영향력을 유지하거나 확대하는데 반드시 성과를 거두는 것은 아니다. 또 외부 필자를 6개월~1년 장기간 운용하는 것은 신문지면만 유지하던 시절의 방식이다. 필자 운용 기간을 단축하고 선정기준을 전향적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가령 일반 독자나 다름없는 소셜네트워크(에서 평판이 좋은) 사람들 중에서 기고자를 발굴하는 것은 어떨까? 이들은 글을 쓰는 관점도 지식인들과 다르지만 기고한 이후 글(매체에 실린)을 알리는 데 있어서도 능동적이다. 일례로 지난해 <한겨레신문>은 페이스북에서 인기가 많은 '이서희' 작가를 필자로 선정했다. 물론 당시 <한겨레신문> 내부에 소셜네트워크에서 필자를 선정하자는 기준이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결과적으로는 신선한 접근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사회지도층 인사 중에서도 소셜 참여도나 소셜 평판이 좋은 사람들을 선택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또 굳이 지면용 칼럼에만 적용할 것이 아니라 온라인 반응을 보고 오프라인에 게재하는 단계적 방식도 고려해봄직 하다.


새로운 '필자 전략'은 첫째, 소셜네트워크에서 폭넓은 활동을 하고 있는 참여자를 선택하고 둘째, 소셜네트워크에서 좋은 필자를 추천받는 열린 모델을 채택하고 셋째, 관점과 형식 등에서 새로움을 제시하는 미래지향적인 필자를 확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뉴스조직에서 일방적으로 지정하는 기존의 사회지도층 일색의 필자 틀을 버리는 것이다. 외부에서 내부로, 하향에서 상향으로, 일방성에서 상호성으로 필자 선정 방식을 180도 바꾸는 셈인데... 이 경우 필자의 사회적 배경이 선정 기준이 아니라 소셜에 게시하는 글의 수준, 대중성(평판)에 초점을 둔다. 


이렇게 필자 운용의 틀을 바꾸면 기존 필자선정 방식을 고수할 때보다 (온라인에서) 매체 호감도 또는 매체의 (소셜)평판 개선 그리고 부수적으로는 독자제보나 아이디어 제시 등 독자와 매체 관계의 증진의 기회가 늘어나지 않을까 생각한다."


덧글. 이 포스트는 기자와 독자들이 '온라인 저널리즘' 전반에 대해 질문한 것들을 답변한 것을 토대로 재정리한 글입니다. 주로 미디어 비평지 기자들의 질문을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받고 있고 실시간으로 답변하고 있습니다. 답변내용을 재구성해 보도된 내용에서 미흡한 부분들을 보완하고 독자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블로그에서도 게재합니다. 참고로 페이스북 팬 페이지에서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