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뉴스 시대. 전통매체가 살아남는 길은 모바일 독자를 이해하고 그들이 원하는 뉴스를 만드는 조직을 신설하는 것이다. 이것으로 부족하면 플랫폼 사업자 등 외부와 제휴해야 한다.
지난 10년 간은 '정보 과잉', '접속 과잉'의 시대였다. 정보와 관계의 피로감을 줄이자는 목소리가 부상했다. 향후 10년 IT 메가 트렌드인 모바일, 소셜, 클라우드, 빅데이터가 그 흐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뉴스 시장도 모바일에 의해 흔들리고 있다. 소셜도, 빅데이터도 그러하겠지만! 이용자가 권력을 쥐는 상황에서는 전통 미디어는 할 일이 별로 없다. 한 개 신문사가 일 평균 200여 개의 아티클을 생산해도 유의미한 이용자 클릭이 일어나는 기사 건수는 다섯 손가락에 불과하다. 엄연히 사실이다.
이 모바일이 전통 미디어를 더욱 코너로 몰고 있다. 원고지 10매 짜리 텍스트, 감각이 떨어지는 보도사진 한 장이 일상적인 출발지다. 거의 매순간 이 두 개의 요소는 동일한 위치에 기계적으로 붙은 채 서비스된다. 이 인터페이스의 부자연스러움과 스크롤의 압박은 이용자들로부터 금세 공격을 받는다.
손바닥만 한 스크린을 관리한 적이 없다고 둘러대는 게 능사가 아니다. 소셜네트워크는 숨돌릴 겨를 없이 이용자들의 가혹한 평판으로 달궈진다. "양복 입고 흰 고무신 신은 인터페이스", "신문에 나간 뉴스를 모바일에 그대로 옮기면 다냐" 온통 원색적인 비난이다.
그 이야기를 들을 만 할 뉴스룸의 기자들이 차라리 없는 것이 다행이다. 기자들은 물리적으로 모바일 뉴스 환경을 신경 쓸 수 없다. 전통 미디어의 선택과 집중은 여전히 전통 미디어다. 업무시간의 대부분은 오프라인에 할당돼 있다.
그럼에도 미디어 이용시간에서 신문은 꼴찌다. 신문 가구구독률·열독률, TV시청률은 정체와 하락을 거듭하고 있다. 빠른 시간 내 회복할 수 있는가? 정보과잉의 시대에선 구조적으로 방법이 없다. 돌파구는 새로운 플랫폼에서 찾아야 한다.
물론 모바일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단연 선호된다. 그리고 전 연령대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문제는 제대로 모바일 기구를 갖추지 못한 대다수 언론사가 덮어 놓고 트래픽에 연연하는 대목이다.
해외에 한 신문은 출·퇴근 시간에 뉴스를 더 많이 그리고 공들여 제공하는 프로젝트를 실행했다. 많은 기자들을 투입했다. 이 시간대를 위한 뉴스는 의미가 있을까? 답은 '그렇다'이다.
미국인의 29%는 아침에 일어나고 밤에 잠들 때까지 모바일 기기와 함께 한다. 즉, 늘 모바일로 접속돼 있다. 한국인은 하루 평균 90분이나 모바일 포털 서비스를 이용한다.
이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은 모바일과 완전히 동기화하고 있다. 망설일 이유가 없다. 최고의 역량을 가진 기자들로 모바일 조직을 꾸려야 한다. 모바일 뉴스 생산 그리고 이용자 대응까지 모바일 환경에 걸 맞는 서비스를 위한 전담기구는 미래를 향한 첫 걸음이다.
페이스북이 최근 공개한 앱 '페이퍼'. 애니메이션 인터페이스가 훌륭하고 모바일 광고시장을 향한 의지가 읽힌다는 호평이 쏟아졌다. 성공 여부를 확신하긴 어렵지만 페이퍼의 19개 뉴스 카테고리는 완고한 전통 미디어를 일단 세게 후려갈긴다. 디자이너·아티스트(Creators), 요리(Flavor), 포토(Explosure), 대중문화(Pop life), 가족(Family matters) 등 아름답고 감성적인 스토리들이다.
그간 국내 전통 미디어는 실시간 검색어 기사를 통해 유입되는 이용자 폭주에 환호했지만 결과적으로 뉴스 경쟁력은 확보할 수 없었다. 농밀한 이용자 관계모델에 기반하지 않는 공급자 관점의 뉴스 생산에만 머물렀기 때문이다. 참여 저널리즘은 고사하고 이용자가 원하는 뉴스 그 자체도 실종했다.
모바일 이용자에겐 더 이상 놀라운 일은 아니지만 애초 신문용, 방송용으로 만들어진 뉴스에 대한 매력도는 낮다. 똑같은 소식을 모바일에서 본다는 것 자체가 난센스다. 차라리 친구들의 이야기를 보는 것이 낫다. 위치, 시간, 분위기 등 이용자의 상황이 고려되는 뉴스로 대응할 수 없다면 모바일에서 살아남기 어렵다.
이미 시장은 모바일 메가 트래픽(Mobile Mega Traffic) 국면으로 진입했다. 다양한 분야에서 모바일 트래픽이 PC 웹 트래픽을 앞서고 있다. 모바일은 이용자 경험을 확장하고 심화하는 중심축이다. 특히 이용자를 붙드는 큐레이션이 기존 뉴스 생산 양식보다 중요한 상황이다.
테크놀러지와 저널리즘을 결합하는 컨버전스 업무가 뒷받침돼야 한다. 저널리즘을 이해하는 개발자를 육성하고 개발 환경을 파악하는 기자가 전면에 나서야 한다. 하지만 뉴스의 타깃화나 정교화가 저절로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시장의 규모나 이용자 충성도가 불충분해서다. 갈등만 되풀이할 것이 아니라 플랫폼 사업자와 파트너십을 통해 풀어야 한다.
덧글. 이 포스트는 <미디어오늘> 2014년 2월19일자 '미디어 초대석'에 실린 글입니다.
'뉴스미디어의 미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를 통해 독자들과 할 수 있는 것을 찾아야" (0) | 2014.03.04 |
---|---|
한국경제 유료 서비스 `한경 플러스`가 나오기까지 (0) | 2013.11.06 |
한국에선 뉴스 그 자체보다 독자 교감이 과제 (0) | 2013.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