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인부동 사이트. 인사-부고-동정을 특화하려는 의지가 보인다. 독자들의 참여를 어떻게 담보할 수 있을 지가 관건이다.
경향신문은 최근 국내외 인물 소식을 전하는 ‘인사부고동정(이하 인부동)’ 페이지를 웹 사이트의 주요 메뉴로 공개했다. 이 페이지에는 독자가 알리고 싶은 인물 정보를 접수하는 공간을 열어 뒀다.
관련 내용을 정해진 양식에 따라 등록해 접수 버튼을 누르면 된다. 이때 ‘사진’ 등 파일도 첨부할 수 있다. 또 메일 계정( inbudong@khan.kr)으로 보낼 수도 있다.
독자나 기관, 기업에서 경향신문 인부동에 정보를 올리려면 로그인을 해야 한다. 정해진 양식에 따라 관련 정보를 올리면 담당 기자가 판단해 지면과 온라인에 반영한다. 잘못된 정보인지를 가려내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독자가 올린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부서는 편집국 여론독자부로 전담 기자 1명이 맡는다. 기사로 재구성하고 페이지에 업로드하는 운영 관리도 한다.
여론독자부는 일반적으로 오피니언면을 관리하고 인물 기사나 인사-부고-동정 같은 콘텐츠를 지면에 처리한다. 이번에 인부동 개설로 온라인을 추가로 맡게 된 셈이다.
편집국 기자가 온라인 서비스까지 담당하는 것은 국내 전통매체 뉴스룸의 정서를 고려할 때 실험성이 강하다.
인부동에 실리는 콘텐츠가 ‘정형화’돼 있다 보니 기자의 부담도 적어 추진하게 된 측면도 있다.
원래 인부동은 일반 독자는 물론 인사, 부고, 동정 정보를 매체에 싣기를 원하는 기관, 지자체 등의 수요를 소화하기 위해서 기획됐다.
유료화를 염두에 둔 것이라고 해석된다. 경향신문의 한 관계자는 “독자 참여의 양상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서 (유료화를) 구체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향신문은 2010년 통합뉴스룸을 구축했지만 아직 그 성과를 예단하기는 이른 상태다. 인부동 사이트는 ‘온라인 퍼스트’를 실질적으로 알리는 계기로 보는 기류도 있다.
디지털뉴스국의 한 기자는 “인부동은 온라인을 먼저 생각해서 만든 페이지”라면서 “이후 지면제작에 활용하는 만큼 뉴스룸 차원에서 보면 ‘온-오프’ 통합의 모델이라고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향신문의 ‘인부동’은 연합뉴스 인물(인사부고동정) 섹션, 중앙일보의 인물정보에 비해 뚜렷한 차별점은 아직 보이지 않는다.
속보성이 앞서는 연합뉴스의 경우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도 출시돼 있다. 중앙일보의 방대한 인물DB와 체계적인 업데이트도 일정한 경쟁력을 확보한 상태다.
인부동처럼 독자 참여 구조가 국내에서 성공한 경우는 극히 드물다. 그 이유는 첫째, 독자 충성도가 낮고 둘째, 소셜미디어처럼 열린 플랫폼이 확산되고 있어서다.
사실 경향신문의 독자 참여형 서비스 모색은 처음이 아니다. 2011년 한국판 위키리크스인 ‘경향리크스’를 오픈한 바 있다. 경향리크스는 독자의 제보를 받아 심층취재를 한다는 기획으로 만들어졌다. 현재 경향리크스는 ‘시즌2’ 형태로 업그레이드될 것으로 보인다.
경향신문의 한 관계자는 “‘위키’ 자체가 요즘 주목을 받지 못해 주춤거리는 부분도 있고 독자의 참여를 담보할만한 안팎의 상황이 미흡한 부분도 있다”면서 “어떻게 방향을 잡을지 고민 중에 있다”고 말했다.
현재 경향신문 온라인 뉴스룸의 공식 명칭은 ‘디지털뉴스국’이다. 디지털뉴스팀-인터랙티브팀-모바일팀-운영팀 등 총 4팀 20여명으로 구성돼 있다. 인터랙티브팀은 소셜미디어, 디지털뉴스팀은 온라인 뉴스 유통이 주 업무다.
당초 통합뉴스룸을 꾸릴 때는 편집국과 대등한 기구라는 콘셉트가 강했지만 현실적으로는 편집국장의 지휘를 받고 있다.
인부동 서비스를 계기로 실질적인 뉴스룸 통합 논의에 다가설 수 있을지 주목된다.
'온라인미디어뉴스 > 국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스탠드 시행...온라인저널리즘 개선 될까? (3) | 2013.04.02 |
---|---|
연합뉴스, 뉴스 전재료 25% 인하 제안 (0) | 2013.02.12 |
`고로케`...온라인 편집기자들 "당장 개선 안 될 것" (0) | 2013.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