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라인미디어뉴스/국내

중앙일보, `연합뉴스 사라진` 뉴스 생산 본격화하나

by 수레바퀴 2013. 1. 4.

중앙일보 웹 사이트에서 사라진 연합뉴스. 지면제작은 물론이고 인터넷에서 연합뉴스의 콘텐츠를 빼고 서비스는 가능할 수 있을까? 중앙미디어네트워크의 탈연합뉴스 행보는 연합뉴스와 언론사간의 해묵은 갈등의 방향은 물론 달라진 디지털 미디어 생태계를 풀어가는 콘텐츠 전략의 진로가 담겨 있다.


신문, 방송, 매거진, 인터넷, 엔터테인먼트를 아우르는 중앙미디어네트워크가 연합뉴스와의 전재계약을 지난해 말로 중단했다. 


미디어비평지 <미디어오늘>에 따르면 중앙미디어네트워크는 지난 연말 연합뉴스에 올해 1월 1일자로 기존 ‘국내기사‧사진, 외신기사‧사진’에 대한 전재계약을 해지한다고 통보했다. 그 대신 외신기사와 사진에 대해 별도로 계약을 맺자고 제안했다.


연합뉴스는 그간 언론사와 전재계약을 맺을 때 국내 사진과 기사, 외신 사진과 기사를 한데 모아 공급하는 ‘일괄 계약’ 방식을 고수해왔다. 


따라서 중앙측의 이러한 제안을 연합이 선뜻 받아들이기 어려운 상황이다.


현재 중앙일보 홈페이지는 지난 1일 이후 연합뉴스가 제공하는 국내외 기사 및 사진이 모두 빠져 있는 상태다. 가장 우려되던 국제뉴스에서도 뉴시스 등 민영통신사와 일부 제휴 언론사의 콘텐츠 그리고 자체 온라인 기사들로 채우고 있다.


중앙측이 이렇게 국내 최대의 뉴스 콘텐츠 제공사인 연합뉴스를 포기하는 배경에는 '연합뉴스 전재료 인하'를 제기하는 의도가 있어 보인다. 


연합뉴스 콘텐츠를 언론사가 실제로 신문제작 및 서비스에 활용하는 비중을 고려하면 연 평균 6억원 이상의 전재료는 비싸다고 볼 수 있다.


이번 기회에 정부가 연합뉴스를 지원하는 특혜 법안 등 해묵은 논쟁을 키워 연합뉴스를 압박하는 카드로 삼을 수 있는 셈이다. 


또 미디어그룹 내부에서 연합뉴스와 같은 외부 매체의 콘텐츠 소스 없이도 자체적으로 뉴스를 충분히 채울 수 있는 인프라가 갖춰졌다고 본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 2003년 제정된 뉴스통신진흥에 관한 법률에 의거 국가기간뉴스통신사로 지정된 연합뉴스사는 약 550여명의 기자들이 현장을 누비고 있다. 지난 10여년 사이 연합뉴스사의 위상은 공공 미디어로서의 시장의 요구, 뉴스시장의 독점체제 붕괴, 인터넷과 모바일 시장의 확대, 전통매체의 위기 속에서 빠르게 변화해왔다. 정치적 독립성 및 공정보도의 문제는 최근까지도 불거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연합뉴스가 사라진 전통매체의 뉴스는 과연 지속될 수 있을지, 아니면 또 어떤 결합과 갈등을 보여줄지 주목된다.



외부적으로도 연합뉴스를 대체할 수 있는 민영 통신사가 자리를 잡은 상태이다. 뉴스 소매를 하는 통신사의 뉴스를 잘 다룬다면 단지 '시간차이'일뿐 없어도 속보 생산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 중앙미디어네트워크의 복수의 관계자는 "다목적의 포석이 있다"면서도 "독자적인 미디어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기본적인 기조"라고 말했다.


국내 최대 미디어그룹사중 하나인 중앙미디어네트워크가 '탈연합뉴스'를 계속 유지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른 언론사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국내 언론사들이 연합뉴스를 완벽히 벗어나 종이신문, 인터넷, 모바일 등으로 뉴스를 제공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중앙미디어네트워크는 일단 하루 평균 3000건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연합뉴스를 빼고 다른 통신사로 채웠다. 전재료 비용은 사실상 0원이 된 것이다.


하지만 콘텐츠의 양과 수준을 회복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통합뉴스룸 등 다양한 매체들이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환경이 정상적으로 갖춰졌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 기자들도 속보를 비롯 주요 뉴스 생산을 연합뉴스에 의존해왔던 만큼 관행을 바꿔가기도 만만찮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미 국내 지역신문을 중심으로 '탈연합뉴스'의 바람이 불었던 것을 고려하면 아주 생소한 사건은 아니다. 문제는 뉴스룸의 역량이다. 이미 포털 중심의 뉴스소비 구조 더 나아가 모바일 뉴스 소비에 길들여진 이용자들이 연합뉴스가 빠진 언론사 뉴스를 실망스럽게 볼 여지가 높다. 이를 빠른 시간 안에 극복할 수 있는 뉴스룸의 준비와 적응이 요구되는 것이다. 


여기서 연합뉴스가 뉴스 콘텐츠 유료 상품을 다변화하지 못한 부분도 지적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 생태계에서는 뉴스가 낱개로 소비되는 만큼 언론사의 요구에 부합하는 상품구성이 있어야 했는데 지난 10여년간 줄곧 한 개의 패키징 상품만 고수해왔다.


한 신문사닷컴의 마케팅 담당자는 "올 것이 왔다고 본다"면서 "연합뉴스야말로 또 다른 포털이 아니었느냐. 문제는 중앙만 나설 것이 아니라 다른 언론사들도 공조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신문사의 경영기획실 기자는 "포털에 뉴스를 공급하면서 전통매체 진영에선 '계륵'으로 통했던 연합뉴스가 핫 이슈로 떠오른 것은 뉴스 산업의 위기가 이제 임계점에 도달했기 때문은 아닐까"라고 말했다. 


이래저래 언론사가 상대하는 연합뉴스의 실타래가 복잡하게 다가온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