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데믹한 원초성과 사회참여의 현재성이 공존하는 대학언론의 대표격인 대학신문은 많은 전통매체가 그러하듯 위기에 빠져 있다. 두 가지 문제를 조화롭게 끌고 가기 위해 더 많은 창의와 헌신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대학기자들의 분투가 절실한 때이다.
스토리 열망 큰 독자들과 함께 하는 방법 고안해야
국내 최초의 대학신문은 1912년에 발행됐다.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의 일이다. 원래 대학신문은 대학 구성원들의 소속감을 끌어 올리는 구심점으로 기능하고 학술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주목적이었다. 그러다가 녹록지 않은 한국의 현대사와 맞닥뜨린 대학신문은 정치권력과 갈등을 빚으면서 그 위상과 기능에 적지 않은 변동이 있었다.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는 편집권의 독립이 위협받은 것은 물론이고 이념적인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최근에는 문화, IT, 환경, 지역, 취업 등 다양한 이슈를 다루는 것은 물론이고 웹 사이트로 대학신문을 발행하는 등 형식과 내용이 진일보하고 있다. 과거의 눈으로 보면 상전벽해나 다름없는 일이다.
이는 주독자인 대학생들의 관심과 세상 트렌드를 수렴하려는 숙명적인 선택이라고 할 것이다. 불과 20여년 전에는 숨막히는 현실 정치가 대학사회를 짓누르는 게 다반사였지만 오늘날은 대학과 청년의 미래에 드리운 그늘이 짙다. 대학사회는 취업을 위한 의례적인 무대로 전락하고 대학인은 심오한 교양이 아닌 표피적인 지식 편취에 급급하다.
상아탑 밖은 치열한 경쟁이 펼쳐진다. 여유를 갖고 낭만적인 것들을 챙기기 어렵다. 반면 커뮤니케이션의 기회는 넓어졌다. 스마트폰, 인터넷으로 개인의 준거 지역을 단번에 벗어날 수 있다. 글로벌 시장을 두드리는 청년 창업의 길도 열려 있다. 도전과 실험, 창의와 실용은 시대의 화두가 됐다.
대학신문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책임은 이렇게 빠르게 변하는 세상 안에 있다. 첫째, 대학은 지역, 국가를 넘어 전지구적인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지역의 문제가 곧 세계의 이슈가 되기도 한다. 국가의 문제가 대학의 사활과 걸리기도 한다. 전체의 공간을 보는 스토리가 필요하다. 즉, 공시적인 이해가 병행돼야 한다.
둘째, 대학의 문제 그리고 대학신문의 자세는 요샛말로 타임라인(timeline)에 노출된다. 일관된 태도나 인식 못지 않게 하나 하나의 사안에 대해 단편적으로 진단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현재-미래를 잇는 전략적인 제기가 중요하다. 통시적인 접근은 대학언론이 메우지 못하는 정보의 속도(speed)와 깊이(depth)를 보완하는 수단이다.
셋째, 대학 안팎의 다양한 독자들과 소통해야 한다. 대학언론이 대학 구성원들에게 외면받는 이유는 한 마디로 생산하는 콘텐츠가 공감대를 불러 모으지 못해서다. 독자위원회를 구성하거나 아이템을 공모하는 개방적인 제작 환경이 요구된다. 더 나아가 독자들의 이야기를 폭넓게 반영하는 열린 지면으로 전환돼야 한다.
입체적이고 양방향적인 대학신문은 결국 ‘혁신’이라는 하나의 키워드로 집약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한국의 대학언론이 처한 구조적인 제약과 한계보다는 관행과 나태에 갇힌 내부의 수동적인 문화를 과감히 버려야 한다.
그만그만한 흉내내기로는 소셜네트워크로 흩어진 표현 열망이 강한 청년 독자들을 불러올 수 없다. 대학신문의 미래는 스토리를 재생하는 독자들과 함께 하는 실험과 창의 안에 오롯이 있다. 훌륭한 도전기가 어서 나와주길 기대해 본다.
덧글. 이 포스트는 가톨릭대학교 학보사 창간기념호 '창간기념축사'에 실린 글입니다.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로 뛰는 영업사원을 위한 앱은? (2) | 2011.12.01 |
---|---|
스마트폰으로 떠나는 여행 (0) | 2011.11.04 |
든든한 `소셜 친구` 맺으려면 어떻게 하죠? (0) | 2011.10.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