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line_journalism

뉴스룸에 기술·디자인·인문학의 씨 뿌려야

by 수레바퀴 2011. 6. 24.

스마트폰이 등장한 2년 전. 국내 언론사는 10여년 전 웹 서비스를 시작할 때만큼 흥분과 긴장의 도가니였다. 다시 발화한 태블릿PC를 보는 시각도 마찬가지였다. 대부분의 언론사가 투자 카드를 꺼내 들었다.

물론 출판사, 게임업체처럼 콘텐츠가 풍부한 미디어 기업들도 연이어 뛰어 들었다. 대형 출판사들은 전자책(E-Book)시장을 다시 살피기 시작했다. 외국어 관련 교재들은 멀티미디어 포맷으로 태블릿PC에 최적화됐다. 일부 신문사는 전자출판 기업에 출자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소비자들은 다양한 기기로 콘텐츠를 즐기기 시작했다. 드라마를 시청하면서 포털 검색을 하는 동시 소비 패턴도 자리잡았다. 영화나 드라마는 TV, 스마트폰, PC 등 다양한 기기에서 시청하는 것이 정착됐다.

세계적인 경제신문 파이낸셜타임스도 웹, 모바일과 같은 온라인 서비스를 동일하게 제공하는 전략을 취했다. 뉴스를 생산하는 언론사 역시 N스크린(Screen)은 독자의 접근성을 고려한 승부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모바일이 장밋빛만은 아니다. 성장 가능성은 높지만 수익성을 이야기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경쟁이 치열하고 포화 및 독과점 상태인 국내 뉴스시장의 구조적 문제 때문이다.

더구나 일반적으로 뉴스는 '상품'으로서 다뤄지기 보다는 공공재라는 인식이 강해 비즈니스가 여의치 않다. 지난 17일 관훈클럽·한국언론진흥재단이 제주에서 공동 주최한 '어플리케이션 시대의 뉴스' 세미나도 회의론이 주도했다.

한 지상파 방송사 참석자는 "모바일 앱 한 개당 평균 투자 비용이 1억원"이라면서 "광고영업은 하고 있으나 시장이 열리지 않고 있다"고 토로했다. 한 신문사 기자는 "기자들에게 온라인 콘텐츠를 만들고 SNS에 참여하라지만 성공한 모델도 없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그동안 국내 언론사들은 원소스멀티유스(One Source Multi Use·OSMU)에 이어 멀티소스멀티유스(Multi Source Multi Use·MSMU)를 강조해왔다. 전자는 뉴스를 만들어 다양한 플랫폼에 동일하게 제공하는 것, 후자는 뉴스를 다양하게 재구성해 각 플랫폼에 최적화한 형태로 제공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이를 위한 기술과 인력 투자는 규모의 차이는 있지만 국내에서도 5년여 전부터 확대됐다. 메이저 신문사는 전담 조직은 물론 전문가 영입에 박차를 가했다. 진보하는 미디어 관련 기술을 이해하고 언론사 시스템 즉, 뉴스 생산 및 유통과정 그리고 비즈니스에 적용하기 위해서다.

대표적으로 콘텐츠를 다루는 기술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를테면 정보와 서비스를 융합하여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이나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매쉬업(Mash-up) 서비스다. 해외 언론사들이 선보이는 데이터저널리즘(Data Journalism), 인터랙티브저널리즘(Interactive Journalism)의 경우 고스란히 태블릿PC에서도 연결된다.

국내에서도 관련 팀이 속속 만들어졌지만 기술을 응용, 뉴스에 접목하는 기자들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편집, 미술, 사진, 자료 등 신문사 내부의 관련 부서 종사자들도 웹, 모바일과는 무관한 업무에만 매달리고 있다.

늦어도 내년 초 탄생하는 종합편성채널사용사업자(PP·이하 종편)들도 미래 방송이 어떻게 융합하고 있는 지 살펴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기존 지상파 방송사 내부에도 미래 방송 전문가는 극소수이고 관련 투자는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향후 2~3년간 보수적 경영을 해야 하는 종편 사업자들에겐 거의 불가능하게 보여진다.

특히 최근 부상하는 클라우딩 기술, 스크린 기술도 현재 언론사 구조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조건을 만들고 있다. 앞으로 콘텐츠는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같은 생활가전기기는 물론이고 화장실 거울, 자동차 유리, 사무실 벽면 등까지 제공될 것이다.

<2014년께 펼쳐질 것으로 예상되는 스크린 서비스를 실험하고 있다. 그렇다면 소비자들은 어떤 콘텐츠를 원할까. 언론사도 심층적이고 입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 글로벌 전자기업의 콘텐츠 관련 부서 한 관계자는 "냉장고에 탈부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기는 RFID와 연계될 것"이고, "냉장고 안에 있는 식품들의 유통기한을 확인해 가능한 요리가 무엇인지, 어떻게 할 수 있는지 등의 콘텐츠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국내 언론사를 비롯 콘텐츠 기업들은 각 플랫폼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차리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가령 홈쇼핑 채널에서 수영복이 판매된다고 할 때 관련 정보를 제공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요즘 부상하는 ASMD(Adaptive Source Multi Device)로 특정한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들을 소비자가 선택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다. 북미나 유럽 IPTV는 소비자가 스포츠뉴스를 시청할 때 자신이 원하는 종목, 좋아하는 앵커나 기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ABC 드라마 그레이 아나토미 아이패드 전용 앱. 아이패드와 TV를 번갈아 가면서 시청하며 새로운 경험을 갖게 된다.

모바일 기기와 TV를 연결해 볼 수 있는 실험적인 방송도 계속되고 있다. 미국 지상파방송사 ABC는 올해 초 드라마 ‘그레이 아나토미(Grey’s Anatomy)’를 시청하면서 아이패드로 다양한 부가 정보를 볼 수 있는 무료 앱을 내놨다.

놀라운 것은 이들 서비스가 하나같이 새로운 소비자들을 겨냥해 직관적이고 흥미로운 디자인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서비스를 만들어내려면 기술 수용 뿐만 아니라 새로운 인재들이 필요하다.

지난 해 말 채용이 끝난 한 메이저 신문사의 수습기자 12명의 출신 학과를 보면 정치외교, 신문방송 관련 학과 출신이 8명 이상이나 됐다. 특정 대학 쏠림 현상도 두드러졌다. 반면 해외 언론사들은 지난 10여년 간 뉴스룸 내부에 응용미술학, 지리학, (과학)철학, 심지어 심리학 출신 인재들을 기용했다.

국내 언론사들도 전문기자 형태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영입하고 있으나 한계는 명백하다. 줄세우기식 선발, 일방적인 도제식 훈련 과정 그리고 출입처 관계모델에 젖어 들기 때문이다.

오늘날 미디어 시장의 강자로 군림하고 있는 구글은 다양성을 인재상의 기본으로 둔다. 엔지니어 조차도 인문학에 관심을 갖고 타인과의 대화에 능숙하며 '왜'라는 호기심을 가진 사람들을 원한다. 대표적인 성공기업으로 부상한 애플의 경우는 창의력, 도전정신, 열정을 꼽는다.

멀티 플랫폼, 크로스 플랫폼에 놓인 언론사도 새로운 콘텐츠와 서비스를 이끌어 낼 창의적인 인재상이 필요하다. 미래 언론사가 테크놀러지 기반의 콘텐츠 서비스 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도 절실하다.

응용 기술, SNS를 비롯한 새로운 소통양식과는 담쌓은 뉴스룸에게 방송이, 뉴스가 무슨 소용인가. 이미 뉴스룸을 집어 삼키는 대안의 콘텐츠룸들이 넘실거리고 있다. 이제라도 뉴스룸은 기술, 디자인, 인문학의 씨앗을 뿌려야 한다. 새로운 문화의 플랫폼이 돼야 한다.

덧글. 이 포스트는 기자협회보 '온앤오프'에 게재된 글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