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의 느낌이 나는 더 타임스 어플리케이션. 뉴스의 가치가 무채색 중심의 톤에 힘입어 살아 숨쉰다.
지난 달 28일 선보인 <더 타임스>의 아이패드 편집판은 수일만에 5,000개가 팔려 나갔다.
구독료는 1일 1파운드, 일주일 2파운드로 책정됐다. 한달 구독은 9.99 파운드. 아이패드 편집판 결제는 웹 사이트 유료 서비스와는 연계되지 않는다.
애플과 <더 타임스>의 결제시스템이 바로 연동되지 않은 점도 있지만 <더 타임스>가 아이패드를 완전히 새로운 채널로 다루고 있어 이같은 가격정책이 나올 수 있었다.
일단 웹 사이트 유료 구독자도 아이패드에서 같은 콘텐츠를 보려면 10파운드 더 지불해야 한다. 반대도 마찬가지다.
<더 타임스> 대변인은 "아이패드 편집판은 웹 사이트와는 차원이 다른 서비스를 제공한다"면서 가격정책이 상이한 이유를 설명했다. 독립적인 서비스라는 컨셉트로 만들어진 <더 타임스>의 아이패드 버전은 FT, WSJ와 다르게 웹 서비스 및 신문 구독자도 돈을 내도록 정책이 결정된 것이다.
이 결과 <더 타임스>는 불과 3~4일만에 어플리케이션 9.99 파운드 기준 49,950 파운드 매출을 기록했다. 물론 이 수치에는 전부 아이패드 신규 구독자인지는 불명확하고 앞으로 이같은 매출 추이가 이어질진 확신하기 어렵다.
WSJ
퀄리티 저널리즘에는 유료화를 적용해야 한다는 소신을 강조해온 루퍼트 머독은 최근 월스트리트저널이 약 10,000명의 독자들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구독료는 월 17달러. 이미 웹 서비스나 신문을 구독한 경우에는 무료다.
FT
FT의 고위 관계자는 무료 아이패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건수가 13만 건이 된다고 밝혔다. 더 타임스나 파이낸셜타임스의 어플리케이션과 다르게 2개월간 무료로 제공된다.
가디언
가디언이 엄선한 보도사진 어플리케이션인 아이위트니스(The Guardian Eyewitness)는 미국에서 처음 런칭된 이래 90,000건의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카메라 제조기업인 캐논의 스폰서를 받아 무료다. 현재까지도 뉴스 어플리케이션 움직임은 없다.
조선일보는 자사가 보유한 텍스토어 플랫폼을 활용해 이르면 8월 하순께 출시될 갤럭시 탭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현재 텍스토어 플랫폼에는 E-Book 서비스를 위해 6개 신문사가 참여하고 있다.
A 신문은 아이패드 어플리케이션 기획을 마치고 외부 기업에 개발을 의뢰했다. B 신문은 뉴스룸 기자들이 레이아웃을 맡아 회의를 거듭하고 있다. C 신문은 콘텐츠 유통 플랫폼 구축과 함께 다양한 뉴스 자원을 묶는 서비스 개발에 나섰다.
침체된 활자매체 시대에 열기를 불어 넣은 아이패드가 대세인지, 유행인지 논란이 있다. 하지만 아이패드와 같은 태블릿PC는 콘텐츠 산업 전반에 혁명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다.
쏟아지는 아이패드 뉴스 어플리케이션은 입체 예술(artwork)로서, 상호적인 교감으로서 살아 숨쉬는 뉴스의 미래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뉴스에 매료되지 않는 이용자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이들은 기꺼이 뉴스 조직을 위해 돈을 지불할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혁신의 기반 위에 있을 때나 가능한 이야기다. 뉴스룸에는 기계적인 기록자들이 득시글하는 것이 아니라 창의적인 기획자들로 붐빌 때 미래가 있다.
특히 창의는 뉴스 콘텐츠에게 새로운 옷을 입히는 출발점이다. 예를 들면 그 창의는 색(color), 기술, 직관, 아름다움들로 나타나 뉴스를 디자인한다. 그것들을 표현해낼 수 있는 사람들이 기자들을 에워 싸고 협력의 뉴스룸을 만들어 간다.
물론 이러한 풍경이 한국의 현실과 부합하는 것만은 아니다. 전세계적으로도 신문지면은 여전히 광고 플랫폼으로 탁월한 쓰임새를 갖고 있다. 반면 온라인은 여전히 유료화나 광고 비즈니스로서 불충분하다.
그러나 이 현실은 뉴스룸이 창의와 거리를 두게 하는 신기루에 불과하다. 뉴스룸이 수동적으로 작동해도 무방하다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선제적으로 적극적으로 탈바꿈해야 한다. 최우선적으로 뉴스 생산 조직 못지 않게 가공 부서의 강화에 나서야 한다. 기사는 누구나 만들 수 있는 시대지만 콘텐츠를 감각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은 아무나 할 수 있지 않다.
또 뉴스룸 안에 인터랙티브 테크놀러지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에 대비해야 한다. 쌍방향 서비스는 인포그래픽과 비주얼 포맷, 이용자 참여적 장치에 의해 무한대로 늘어날 것이다. 뉴스룸이 기술을 어떻게 수용할지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뿐만 아니라 뉴스 유통 전략의 변화도 도출돼야 한다. 포털사이트에 언제까지 풀 뉴스를 제공해야 하는지 결론을 내려야 할 것이다. 그 이전에 어떤 뉴스를 만들 것인가, 이용자와 어떻게 뉴스를 만들 것인가 등 차원이 다른 주제들도 정리해야 한다.
삼성전자의 한 관계자는 "국내 신문사들의 뉴스나 그 서비스가 아이패드 같은 새로운 디바이스에 유용하다고 보기 어렵다"면서 "새로운 단말기와 플랫폼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한다면 뉴스룸은 2~3년내 고꾸러질 수도 있다"고 진단한다.
아이패드와 같은 디바이스가 국내 뉴스룸을 질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4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개최한 신문 위기 극복을 위한 대토론회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제작에 정부지원이 주문될 정도로 신문기업의 경영사정이 좋지 않은 상태다.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신문 뉴스룸 종사자들의 성찰과 열정이다. 신문 본위의 사고를 버려야 한다. 자사 중심의 논점도 극복돼야 한다. 뉴미디어를 직접 경험해야 한다. 그리고 이용자들과 함께 소통해야 한다. 이러한 철학과 인식의 배경이 뉴스룸의 인프라나 콘텐츠의 형식을 바꾸는 것 못지 않게 결정적이라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한 메이저 신문의 기자는 "온라인 DNA가 없는 기자들로는 신문기업이 생존하기 어렵다고 본다"면서 "DNA가 달라져야 한다"고 지적한다. 사실이다.
오죽하면 앱 스토어 아이패드용 뉴스 어플리케이션들도 한 목소리로 보여주고 있지 않는가. 우리는 21세기에 살고 있다고. 오늘의 신문산업 위기의 기저에는 20세기에 복무하는 저널리스트가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뉴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TV와 미디어 시장 (0) | 2010.07.19 |
---|---|
경제와 문화 접목한 모바일 서비스 필요 (0) | 2010.05.17 |
애플, 구글, MS 미디어 시장 빅뱅 (0) | 2010.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