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미디어의 미래

국내 신문업계 뉴스 유료화 어디로 향하나

by 수레바퀴 2010. 1. 21.

신문의 퇴보는 의심할 수 없는 사실로 드러나고 있다. 신문을 비롯한 뉴스 미디어 기업의 생존을 위해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이 의문에 신문은 뉴스 유료화 카드를 꺼내 들었다.


뉴욕타임스가 20일 2011년부터 온라인 뉴스 유료화를 시행키로 하면서 국내 뉴스 미디어 업계의 움직임도 주목받고 있다.

무료 뉴스 서비스를 고수하고 있는 흐름에 변화 기류가 생기지 않을까 하는 업계의 기대가 고조되고 있어서다.

일단 신문업계를 중심으로 뉴스 유료화 흐름은 '정중동'인 상태다. 드러내놓고 독자적인 유료화를 하기에는 부담되기 때문에 조용한 논의를 하는 수준이다.

하지만 신문사의 규모나 경쟁력 등의 차이에 따라 온도 차이가 심한 편이다. 메이저 신문업계는 "할 수도 있다"는 판단은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메이저신문 관계자는 "콘텐츠에 대한 퀄리티 업이 전제된다면 어떤 시점이냐는 점은 중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또 다른 메이저신문의 닷컴사 관계자도 "이것이다 하는 게 있다면 안할 이유는 없다"고까지 말했다.

즉, 메이저 신문은 대포털 뉴스계약 관계의 변화를 비롯 국내 콘텐츠 시장의 변화 등 여러 사안들에 대비해 사전 정지작업을 하고 있어 뉴스 유료화에 언제든 나설 수 있는 상황이다.

이들 신문은 2~3년 사이 아카이브나 디지타이징, 집배신 시스템 등 인프라 투자는 물론이고 다양한 윈도우즈에 상품을 내놓기 위해 콘텐츠 소싱 전반을 정비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뉴스 프로덕션(productioon) 단계에서 뚜렷한 한계에 부딪힌다. 온라인 뉴스 비즈니스 전문가들은 현재의 온라인-오프라인 콘텐츠 수준으로는 안된다고 보고 있다.

여기에 신문사가 가용 가능한 뉴스 콘텐츠를 제대로 패키징 못해 상품 개발 능력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거든다.

상대적으로 유료화에 승산이 있다고 평가받는 경제지들의 경우는 분위기가 뜨거운 편이다. 한 경제지 닷컴사 간부는 "이제 결단의 문제"라면서 "다양한 방식을 검토할 수 있고 업계의 공동 대응도 필요한 부분이 있다"고 적극성을 띄었다.

온라인 경제지들이 시장에서 뉴스 판매를 어느 정도 다져온 데다가 시장 수요는 더 늘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을 더 폭발적으로 가져가기 위해서는 업계의 대응력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된다. 한 신문사닷컴 관계자는 "메이저사나 연합뉴스가 포털에서 뉴스 제공을 빼면 문제는 간단해진다"고 주장했다.

물론 현실성은 떨어진다. 그러나 상황은 무르익고 있다고 지적한다. 포털사이트도 기존의 뉴스 유통에 경제적, 사회적 비용이 늘면서 지치고 있는 점도 거론된다.

가능한 방식이 없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일본 신문업계가 그랬듯이 신문지면 기사 중 일부(30% 정도)만 제공하는 것도 선택할 수 있는 카드다.

메이저사와 비메이저사간의 내부 논의 수준이 현격하게 벌어져 있다. 하지만 모바일에 주목하는 것은 동일하다. 업계 공동 대응이 중요하다는 데도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문제는 시장과 독자들의 기대치다. 퀄리티 콘텐츠는 부족한데 유료화 논의만 무성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신문사는 논의조차 없는 상황이다. 유료화로 '벽'을 둘러치면 누가 와서 보겠느냐는 것이다.

한 신문사닷컴 관계자는 "유료화를 하려면 시장이 형성돼야 하는데 시기적으로 적정한 때가 아닌 것같다"며 '시기상조론'을 언급했다.

규모가 비슷한 다른 신문사닷컴 관계자는 "현재 제공되는 뉴스로는 어렵기 때문에 투자가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최근 열풍이 불고 있는 아이폰 등장 이후 스마트폰이 주도하는 모바일 시장에서 뉴스 유료화를 관철시키려는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다.

웹과는 차별성 있는 뉴스 상품을 개발하거나 언론사 공동의 뉴스포털로 승부를 해보겠다는 업계의 판단이다.

최근 온-오프라인 기업을 통합한 한겨레신문의 디지털미디어사업본부 전략기획사업부문 육근영 기획팀장은 "스마트폰은 콘텐츠를 가진 저작권자를 위한 플랫폼임을 인식해야 한다"면서 "포터블(portable) 디바이스인 만큼 적정한 콘텐츠 개발에 따라선 발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 메이저신문사 닷컴 관계자는 "웹과는 차별성이 있는 모바일에 어떤 뉴스 상품을 만들지를 고민해야 한다"면서 "실시간 속보나 지역 정보 등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대부분의 언론사가 포털사이트에 뉴스 제공을 하고 있는 시장 여건에서 기존 상품만으로 유료화를 하는 것은 사업성이 낮기 때문이다.

한 경제지 관계자는 "모바일은 업계가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면서 "스마트폰 등장으로 뉴스 유료화가 가시권에 들어왔다"면서 낙관론에 힘을 실었다.

이를 종합해볼 때 첫째, 포털을 비롯한 뉴스 유통 모델 재검증 둘째, 뉴스 상품 개발 셋째, 시장과 독자 조사 넷째, 언론사 공동 보조 등이 뉴스 유료화의 선행 혹은 병행 과제로서 의욕적으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물론 현실적으로 포털 뉴스 공급이 조기에 중단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내부적으로 테크놀러지 기반에 투자하고 상품개발 부문의 투자 등 체계적인 접근이 부상할 전망이다. 

이미 일부 신문사는 써드 파티(3rd Pary)에 맡기는 형태의 플랫폼 진입엔 부정적인 기류가 있어 자체적인 역량 강화 흐름이 감지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업계의 공동 대응도 관전 포인트다. 대포털 뉴스 공급 중단이나 동시 유료화 또는 뉴스뱅크의 포토 비즈니스같은 공동 플랫폼 기반의 상품 개발과 제휴를 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결국 국내 신문업계는 올 한해 뉴스 유료화를 웹이 아닌 모바일에서 우선 적용하고, 단독 또는 공동의 비즈니스모델로 분위기를 만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덧글. 이 포스트는 기자협회보 온앤오프(48)에 실립니다.

덧글. 이미지 출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