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line_journalism

독자와 공존하는 기자가 살아남는다

by 수레바퀴 2009. 2. 26.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독자들을 우대하는 기자들은 권위와 편견을 내세운 뉴스룸을 뛰어 넘을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신문산업이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는 가운데 활자매체와 소속 기자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미국 펜실베니아주에서 발행되는 패트리어트 뉴스(Patriot-News)의 다니엘 빅터 기자가 22일 공개한 커뮤니티 기반의 취재 실험 계획'은 생존의 문제를 생각하는 신문산업 종사자들에게 반면교사가 될 것으로 여겨져 소개한다.

커뮤니티 기반 취재 실험이란 기자가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독자들에게 지역 커뮤니티나 이웃과 관련된 이야기를 제보해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다.

독자들은 그의 블로그에 댓글 등으로 올리고 기자의 소속 신문사에서 이를 반영할지 잔뜩 기대하게 된다.

빅터 기자는 이 과정에서 다양한 취재 방법들이 구현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일단 빅터 기자는 가장 좋은 제보 아이디어가 무엇인지 투표를 유도할 계획이다. 독자들이 블로그나 지면 신문에서 그의 다음 이야기에 대해 선택을 하는 형식이다.

물론 독자가 이렇게 뉴스에 참여하는 것은 전혀 새로운 것은 아니다. 이미 전세계적으로 뉴스 소비자들은 쉽게 자신의 견해를 밝히고 비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자들이 독자들과 함께 하는 한 독자들은 기자들을 버리지 않는다. 공공적인 아이템 등 독자 제보를 반영한 기자들을 지원하는 프로젝트인 스팟어스.


또 지역 뉴스에 독자 참여를 활성화하는 것이 첫 시도도 아니다. 일부 웹 사이트, 예를 들면 스팟(Spot.us)의 '퍼블릭' 채널의 경우 이용자들의 제보를 다루는 기자들에게 일정한 고료를 지급한다(오마이뉴스는 좋은 기사를 읽은 독자가 자율적으로 고료를 보내는 방법을 쓰고 있다).

아웃사이드(Outside.in)의 경우는 아주 작고 특정한 지역 기반의 로컬 뉴스를 추적하면서 이용자들과 조우한다.

하지만 빅터 기자의 제안이 흥미로운 것은 피드백을 다루는 방법이다. 블로그에서 시작한 피드백을 패트리어트 뉴스가 프로페셔널 저널리즘을 동원해 보도하는 것이다.

시사IN의 고재열 기자도 자신의 블로그에서 독자들의 제보는 물론이고 독자들과 함께 콘텐츠 생산을 고심하고 있다. 나는 이를 '저널리즘2.0'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물론 빅터 기자처럼 지면과 직접 연계되는 형태로 나아가는 것은 아니지만, 좀 더 좋은 콘텐츠 생산이 가능할 수 있도록 더 많은 피드백과 제안을 당부하는 것은 똑같다. 이는 모든 독자가 시민기자가 될 수 없다는 점에서 당연한 귀결일지도 모른다(하지만 촛불시위 등을 통해 검증된 시민기자의 무한한 잠재력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마침 고기자는 미디어 법안 처리와 관련 독자들의 참여를 촉구하는 포스트를 했다).

기자가 운영하는 블로그가 신문과 인터넷의 가교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는 전적으로 기자와 뉴스룸의 의지가 중요하다.

독자들이 요구하는 바에 대해 인터넷의 쌍방향성을 접목, 이를 활자매체가 다루는 콘텐츠로 연결지으려는 것은 산업의 생존과도 결부된 문제이다.

빅터 기자나 고재열 기자는 인터넷의 힘을 활용해 활자매체의 브랜드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는 점에서 충분히 지켜볼 가치가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신문업계가 커뮤니티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한꺼번에 사들이거나 제휴하는 것보다는(한국에서는 이마저도 불가능하다!) 선도적인 기자들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독자를 껴안는 노력은 아주 중요하다.

만약 현장을 취재하는 프로페셔널 저널리스트가 앞으로 독자들과 더 가까워지지 않는다면 그들의 조직은 사라지거나 사회적 영향력은 붕괴될 것이다.

결국 독자들과 함께 하는 프로페셔널 저널리스트야말로 '최후의' 저널리스트로 살아남지 않을까? 민감한 정치적 관점을 배제하더라도 고재열 기자가 국내 최고의 기자 블로그임을 부인할 수 없듯이 말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