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털사이트

조중동, 다음에 뉴스 공급 중단 이후

by 수레바퀴 2008. 7. 6.

사용자 삽입 이미지

Q. 조선, 중앙, 동아가 다음커뮤니케이션에 전격적인 뉴스 공급 중단을 추진하는 데 이어, 네이버가 뉴스 개편 정책 변화를 선언했는데요.

A. 전통매체가 포털사이트의 서비스로 인해 신뢰도와 영향력의 위기를 겪고 있는 점은 단지 이번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촛불시위는 하나의 발화점이 된 것에 불과하고요.

그런데 이미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다음 뉴스 서비스의 질 저하에 따라 이용자 이탈이 이어져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을 하고 있으나 그것은 잘못된 판단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 조중동 기사가 포털에서 볼 수 없게 되더라도 포털뉴스 트래픽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공급 중단이 이뤄진다 하더라도 그것이 서비스적 측면에서 포털에게 부담을 주지는 못할 것입니다.

오히려 정권과 전통매체를 향한 인터넷 여론의 악화가 이어져서 또다른 대결국면이 조성될 것입니다.

문제는 유력 신문과 포털간 대립 과정에서 나머지 언론사의 선택인데 그 대열이 늘어날수록 다음의 사회적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또 촛불시위로 촉발된 공급중단이 포털뉴스 편집 및 유통정책 방향까지 전체 언론사의 동조를 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그러나 이번 뉴스 공급 중단은 오래갈 것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그 이유는 실제로 이같은 상황이 지속되길 원치 않는 양측의 이해관계 때문입니다.

우선 조선, 동아 등 일부 언론사는 다음과 온라인 광고 비즈니스 시행을 목전에 두고 있었기 때문에 원만한 합의의 장을 찾는데 서로 노력하게 될 것으로 봅니다.

무엇보다 이용자들이 뉴스 공급 중단을 선언한 유력 매체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반대 캠페인을 전개할 가능성이 커져 현재의 광고주 불매 운동 등과 이어진다면 적지 않은 위험성도 있습니다. 

다음이 언론사의 요구에 부합하는 정책 결정을 언제, 어떻게 할지가 관건인데, 이 향방에 따라 다음에 주목하고 있던 이용자들의 움직임도 결정날 것입니다.

또 네이버가 최근 밝힌 뉴스편집 개방과 오픈플랫폼 전환은 한 마디로 언론사에게 큰 실익을 주기 어려울 것입니다.

전면적인 개방도 아니고 부분적이며 이용자의 뉴스 소비 패턴을 볼 때 네이버의 개편은 전체 뉴스 소비량을 오히려 줄이게 되고, 언론사간 서열을 부추길 것입니다.
 
이미 네이버는 초기 화면 뉴스박스에서 언론사별 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는데 사실상 실패했습니다. 이번 뉴스박스 편집권 개방이 현재의 언론사별 페이지 선택방식과 차별성이 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국내 뉴스 소비자들은 뉴스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특별한 목적이 아니라면 언론사별 페이지를 선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단순한 뉴스 소비 패턴을 고수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Q. 이번 기회를 통해 언론사들은 대포털 관계개선을 위한 기회로 이용하려는 의도도 있다는 것인가요?

A. 전혀 없다고 할 수 없습니다. 상황에 따라서는 그렇게 전개될 수도 있다고 봅니다. 이미 야후코리아 등 일부 포털이 본사와 뉴스 서비스 개편 방향에 대해 논의를 시작한 점도 무시할 수 없는 분위기입니다.

다만, 이번 촛불시위 파장으로 언론사의 공적이 다음이 된 것은 이번 공급중단을 합리성과 선의의 측면으로 해석하기 어렵습니다.

그런데 사실상 시장을 독식하고 있는 네이버는 지금까지도 언론사와 공동의 비즈니스에 소극적이었습니다.

물론 네이버가 지난해 주요 언론사의 과거 기사 디지털화를 전제로 뉴스 장기 계약을 맺은 부분이 있지만 이것을 언론사와 공생관계 모색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오히려 지난해 네이버는 그런 제안을 흘리면서 결과적으로는 주요 언론사를 흔들어 언론사와 구글의 중요한 협상 테이블을 무력화했습니다.

네이버는 언론사의 강력한 요구를 적재적소에 피해가면서 자신들의 의지대로 시장을 유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즉, 이번 뉴스공급 중단은 언론사에게 적극성을 보이며 협조적이던 다음이 이용자 서비스 채널에서 불거진 문제로 공격받는 대신, 이용자와 언론사에게 폐쇄적, 소극적이던 네이버는 비판의 칼날을 벗어나게 됐습니다.

따라서 언론사가 원하는 수준으로 대포털 관계개선의 정상화나 뉴스 서비스 변화가 이뤄질지는 섣부르게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그것을 목표로 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다음 등
일부 포털이 뉴스 서비스를 대폭 축소하는 등 엉뚱한 결과도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Q. 이번 공급중단으로 조중동의 득실은 무엇입니까?

A. 첫째, 다음을 비롯한 포털사업자 등에게 결속력을 과시해서 어떤 측면에서는 향후 협상력에서 강한 위상을 가질 수 있게 됐습니다. 둘재, 이런 상황에서 포털의 수세적 국면은 정치적, 법률적, 산업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언론사가 유리한 방향의 협력과 비즈니스가 이뤄질 공산이 그만큼 커졌습니다.

그러나 실리를 챙길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첫째, 계약 관계를 파기한 부분에 대해 (다음이 일부 언론사를 상대로 적극적으로) 위약금을 청구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둘째, 이번 조치가 언론-포털이라는 산업적, 저널리즘적 이슈가 아니라, 뉴스 소비자와의 관계, 정치적 문제 등과 결부돼 있어 심각한 반조중동 대열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음의 경우 언론사의 공급중단이 갖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런 관계를 계속 유지하기는 힘들 것입니다. 시장은 여전히 조중동의 다음 비판을 주목하게 될 것이고 주가에 영향을 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간을 끌수록 다음이 불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이 적극성을 보이며 재협상에 나설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상황이 조기에 매듭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중동 이외에 뉴스 공급 중단에 나선 매체가 늘어나지 않는다면 이용자 서비스 채널을 부분적으로 재정비하면서 언론사의 움직임을 관망할 수 있을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뉴스 소비자의 선택과 여론이 결정적인 변수가 될 것입니다. 또 상당수 부분은 다음의 몫이 됐습니다. 조중동은 빼 든 칼을 쉽게 접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아쉬운 점은 전통매체 일부가 아직 인터넷 시장과 뉴스 소비자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점입니다. 뉴스 소비자와 소통하지 못하면서 비즈니스를 논의하고 있는 점이나 강경 조치를 취해야 할 상대와 시점에는 정작 단일한 행동을 보여주지 못한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경영적, 정치적 판단이 얼마나 설득력을 갖게 될지는 의문인 것입니다.

이미지 출처

덧글. 이 포스트는 한 미디어 비평지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발언한 것을 재구성한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