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line_journalism

매체 블로그, 어디까지 와 있나?

by 수레바퀴 2008. 5. 22.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신문, 잡지 등이 자사 웹 사이트와는 별도로 블로그에 기사를 업데이트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즉 매체 기사를 그대로 옮긴 매체 블로그가 벌써 5~6개가 되고 있다.

이미 방송계 미디어 비평지인 PD저널은 올해 초부터 블로그로 기사를 업데이트하고 있다. PD저널은 온라인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역사가 짧아 홈페이지만으로는 한계가 있었다.

자연스럽게 블로고스피어에 노출해 매체 인지도도 높이자는 전략으로 시행됐다.

PD 저널 한 기자는 "포털은 이미 포화상태라서 제휴도 쉽지 않아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는 기회를 찾게 됐다"면서, "다른 미디어비평지인 '미디어스'의 사례도 벤치마킹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평가를 하기는 이르다.

블로그에 노출된 기사를 보는 경우는 늘고 있지만 자사 웹 사이트로 들어오는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즉 원래 매체 사이트와는 다르게 돌아가고 있는 셈이다.

이에 앞서 지난해 삼성비판 기사 게재 거부 등으로 시사저널 파행사태가 계속되면서 시사저널 일부 기자들이 파업소식을 다음 블로그에 게재한 것도 블로그를 활용한 매체전략의 사례다.

현재 이들 기자들은 시사IN을 창간, 웹 사이트를 운영하면서도 블로그를 통해 호별 목차나 주요 기사 등을 수록, 다음 블로거 뉴스 페이지에 노출하고 있다.

시사 IN의 한 관계자는 "아직 온라인 전략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명쾌하게 정리된 것은 없다"면서도 "접점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며 블로그 활용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아예 신문기사를 블로그에 전재하는 일간지도 나오고 있다. 지역신문인 경남도민일보의 경우 공식 팀블로그를 통해 대부분의 기사를 전재하고 있다.

매일 자사 기사를 올리는 경남도민일보 공식팀블로그는 주요 기자 블로그와 네트워크로 연결버튼을 만들어 두고 있다. 일부 기자들은 '블로거 기자단 네트워크'를 구성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경남도민일보 한 관계자는 "지난 총선때는 민주노동당 강기갑 후보의 당선 소식을 가장 발빠르게 전파해 지역지의 한계가 있음에도 매체 인지도를 높였다"고 말했다.

일부 신문사의 경우 특정 부서가 팀 블로그를 만들어 서비스하는 경우도 있다. 세계일보 인터넷뉴스부는 팀블로그를 통해 기자들의 글을 게재하고 있다. 조선일보 인터넷뉴스부도 블로그를 개설하고는 있으나 개방적인 상태는 아니며 내부 구성원간의 소통에 그치는 정도다.

이렇게 언론사들이 개별 기자 차원이 아니라 매체 전체 차원에서 혹은 부서 차원에서 블로그 개설에 나선 것은 첫째, 블로깅을 하는 젊은 뉴스 소비자층과 만나고 둘째, 이를 통해 매체와 기자의 경쟁력을 간접 홍보하려는 의도가 짙다.

그러나 매체의 블로그 전략은 단순한 기사 전재로 끝나서는 안되고 소통과 참여의 시스템으로 뒷받침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즉, 현재의 매체를 그대로 옮기는 것으로 블로그를 해서는 안되고 블로그가 뉴스룸 안팎의 것을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매개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기자들도 자신의 기사에 대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하고 자신의 블로그를 노출하는 등 뉴스 소비자들과 지속적인 대화를 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