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line_journalism

어떤 신문 혁신을 할 것인가

by 수레바퀴 2008. 3. 21.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국내 신문업계의 행보가 심상찮다. 정당성 논란을 떠나 신문방송 겸영 규제 해소 필요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다양한 방법의 신문혁신이 논의되고 있다.

구체적인 양상들은 우선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확대로 나타나고 있다. 중앙일보는 지난 2월 인터넷으로 뉴스 생방송을 시작했고 경향, 국민도 이에 동참했으며 동아일보도 방송PD 채용에 나섰다. 이미 기자들에게 캠코더를 지급 동영상 콘텐츠 생산을 해온 조선일보도 자회사인 디지털조선일보를 통해 케이블TV를 시작하고 있다.

비단 콘텐츠 형식의 변화만 모색되는 것은 아니다. 기자 이직 행렬이 계속되면서 기자 채용과 육성 제도의 전환도 추진되고 있다.

조선일보는 전 기자들을 대상으로 해외 연수와 안식년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한편 전문가들을 상시 채용하는 등 획기적인 기자 직군 인사 관리 종합 대책을 마련한다. 또 새로운 오너체제를 연 동아일보도 경력기자를 충원하는 한편 방송PD를 영입, 스튜디오에서 영상 뉴스도 생산한다.

또 IPTV 등 컨버전스 미디어 환경에서의 전략수립을 위해 기자들을 독려하고 있다. 모바일로 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비롯 전자종이 단말기, 뉴스 리더 등 새로운 실험도 이어지고 있다. 또 독자 참여 확대 방법을 찾는가 하면 판형 변화나 주말판 강화, 기자들의 온라인 활동 강화도 빠른 속도로 추진되고 있다.

그런데 이 모든 신문의 혁신들은 궁극적으로는 저널리즘의 신뢰도와 콘텐츠의 수준에 맞춰져야 한다. 신뢰와 퀄리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 기본과제들이 존재한다.

첫째, 보유 콘텐츠에 자산관리 기법이 도입돼야 한다. 이제 콘텐츠는 함부로 버려지거나 관리되는 것이 아니다. 언제든 불러 내서 쓰여져야 부가가치를 지니는 것이다.

따라서 조사자료부나 데이터베이스 관련 부서의 규모와 능력을 지금보다 두 배 이상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보다 창의적으로 정보를 재가공하는 역량에 따라 신문 브랜드의 경쟁력이 판가름난다.

둘째, 뉴스에 대한 획기적인 시각 전환이 필요하다. 6하 원칙에 의해 만들어지는 뉴스는 더 이상 상품성을 갖고 있지 않다. 정보로서의 뉴스는 필요할 때 원하는 형식과 내용으로 구성될 수 있어야 한다.

종전의 뉴스 부서의 획일화된 움직임은 역동적으로 세팅돼야 한다. 피겨스케이터 김연아 선수가 뜬다면 신문은 ‘김연아 팀’을 만들었어야 했다.

셋째, 데스크급을 비롯 간부 기자들의 변화가 필요하다. 간부들은 브랜드를 주도해야 한다. 그들은 온라인으로 지금보다 더 많이 나와야 한다.

그들이 보유한 풍부한 네트워크와 인지도를 과감히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들이 오프라인에 자신의 업무력과 지위를 한정할수록 매체력은 정체된다.

이상과 같은 신문혁신의 기본 방향은 구체적으로는 조직과 업무내용의 변화를 지지한다. 조직은 지금보다는 더욱 더 전문화될 것이고 소형화될 것이다. 업무 내용은 더욱 더 협업의 양상을 띨 것이고 복합적으로 채워질 것이다.

특히 이러한 변화에서 멀티미디어 분야를 비롯한 어시스턴스 그룹 즉, 정보 검색사, 데이터베이스 구축전문가, 웹 디자이너, 프로그래머 등의 뉴스룸 내 지위 격상도 요청된다.

다시 말해 뉴스룸의 문화적 격변이 불가피하게 된다. 즉, 신문혁신의 상당 부분은 문화적이고 철학적인 기반 위에서 이뤄질 필요가 있다. 그래야 실패의 여지를 줄일 수 있어서이다.

예컨대 왜 많은 해외유력 신문기업들이 커뮤니케이터나 컨설턴트를 두고, 미래학자를 두느냐를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신문혁신의 상당 부분은 내부의 컨센서스를 모아가는 과정으로 설득과 소통의 문제를 수반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어떤 신문혁신을 할 것인가부터 내부에서 정해져야 어떻게 신문혁신을 할 것인가가 명료해진다. 그러나 국내의 대부분 신문은 숲(신문산업의 현재와 미래)을 보지 않고 나무(뉴스룸의 구조나 역할)를 베고 새로 심으려는 작업들이 전부가 되고 있다.

우려되는 대목은 신문혁신의 기본과제들에 앞서서 뉴스룸 전체의 공감대를 갖는 일이 어렵다는 점이다. 대체로 기자들은 새로운 변화에 저항하는 정서가 있는 데다가 혁신의 범주가 신문에만 멈춰진다.

신문만 변화시켜서는 안된다는 점은 BBC의 ‘방송을 넘어서’ 전략, 가디언지의 ‘온라인 지적 커뮤니티’ 전략에서처럼 혁신의 외연이 무한대로 뻗쳐진 성공적 사례들로 증명된다.

협소한 신문혁신의 동선은 처음부터 교정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전체를 바꾸지 못할 바에는 아예 시도하지 않는 것이 신문혁신이기 때문이다.

출처 : 기자협회보 온앤오프 2008.3.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