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뉴스 편집의 편파의혹이 시민사회단체의 인터넷 모니터링에 의해 제기됐다.
대선미디어연대는 지난 1일부터 5일간 네이버, 다음 등 주요 포털사이트의 정치뉴스 편집을 모니터한 결과 한나라당 이명박 대선후보는 우호적인 기사를 중심으로 노출하고, 통합신당이나 문국현 후보의 경우 비판하거나 외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대선을 불과 70여일 앞두고 막대한 뉴스 소비와 여론창구로서 영향력을 높여온 포털뉴스의 신뢰도에 결정적인 금이 갈만한 내용이다. 지난 8월 네이버가 대선뉴스 편집원칙을 공표한데 이어 정치뉴스 댓글 일원화를 시도하면서 목표했던 엄정 중립, 선거과열 양상 차단이 무색할 정도다.
포털뉴스가 불필요한 사회적 논란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제공된다는 것은 그간 영향력을 높이고 독점적인 지위를 누렸던 데 견줘보면 지나친 몸 사리기일 수밖에 없다.
더구나 이러한 처신이 포털뉴스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 이용자들의 탈정치화를 조장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긴장감없고 상투적인 연예뉴스는 주요하게 배치하고 깊이 검증하고 상호 소통해야 할 의제에 대해서는 노출을 꺼린다면 그 결과는 명백하다.
포털뉴스 담당자들은 지금까지 포털뉴스로 오프라인에서 형성된 언론사의 서열화가 종식되고 다양한 뉴스 이슈를 제공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했다고 자부해왔다.
하지만 대선과 같은 시기에 포털뉴스가 공적 책임을 감수하는 적극성을 포기하는 것은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를 고려할 때 아주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포털사업자들은 콘텐츠 유통 플랫폼을 자임하면서 그간 제기돼온 언론으로서의 위상과 책임을 밀쳐 왔다.
포털사업자가 스스로에게 입혀진 영향력을 사양한다고 해서 그것이 사라지지는 않는다. 이번 경우처럼 포털 미디어는 이미 주류 미디어가 된 상태다. 스스로 제3자인양 행세한다지만 결과는 특정 후보자를 지지한다는 의혹까지 사게 됐다.
네이버의 대선시기 뉴스편집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정치뉴스를 중립적으로 노출하는 것이 가당한 것인가에서 부상한다. 네이버가 공급받는 언론사는 통신사인 연합뉴스를 제외한 종합일간지와 경제지가 중심이 된다.
이 가운데 정치뉴스는 보수매체에 의해 가장 많이 공급받게 된다. 당연히 대선 뉴스의 보수화, 특정 후보 편중화가 예고되는 대목이다. 그럼에도 포털뉴스에 기대했던 것은 다양한 검증과 평가를 담은 정보를 충실히 제공해주는 것이었다.
현재 네이버는 뉴스 소비가 집중적으로 일어난다는 뉴스박스에서 특정 후보자의 움직임을 확인하기 어렵다. 경선 승리나 중도 사퇴 등 큰 변수가 아니면 노출하지 않는다는 내부 원칙에 충실하고 있어서이다.
그러나 대선미디어연대는 10월 첫째주 포털 뉴스편집 모니터링을 통해 그것이 얼마나 허구의 원칙이었던지를 증명해주고 있다. 정치뉴스인지 아닌지를 가르는 기준도 모호하며 대선에 영향을 줄 여러 뉴스들이 얽혀 있는 마당에 후보자 관련 뉴스를 제외한 것을 노출하는 것이 면피가 될 수 있는가?
예를 들면 변양균-신정아 스캔들 뉴스는 포털 뉴스박스의 단골로 등장했다. 이명박 후보의 경부운하 논란이나 마사지걸 발언은 축소되거나 아예 노출되지 않았다. 문국현 후보의 사이버 인기 몰이는 애써 외면됐다.
대선을 불과 70여일 앞둔 시점에서 모든 뉴스가 정치요, 선거와 관련된다. 정치뉴스 댓글을 차단한다고 해놓고 일부 정치 유사 뉴스(사진뉴스 포함)에는 댓글이 여전했다. 도대체 원칙이 무엇인지 알 수가 없다.
이용자가 대선 후보자들의 면면을 보다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적극적인 뉴스편집이 필요한 때이다. 그런데 우리들 중 누구도 포털뉴스 편집에 대해 구체적인 정보를 갖고 있지 않다.
포털뉴스는 도대체 어떤 사람이, 어떤 배경(유추해볼 수 있는 정보)으로, 어떻게 매일 매일 편집되는지 알 길이 없다. 노출되는 뉴스의 내용과 분류, 소비되는 흐름에 대한 데이터도 결코 노출되지 않는다.
이것은 포털뉴스를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가 겹칠 때 의도하건 그렇지 않건 왜곡된 방향으로 갈 수 있다는 의혹을 받기에 충분하다. 포털이 지난해부터 외부 전문가들로 이용자위원회 등을 구성했지만 요식적이라는 비판을 받을만하다.
스스로 위험부담을 줄여 포털을 사회적 논란으로부터 안전하게 하려는 행보이긴 하지만 국내에서 뉴스를 서비스하는 한, 그리고 포털뉴스가 TV시청률만한 위상을 갖는 한 절대로 안전할 수가 없다.
마치 지금의 포털뉴스 편집과 정치댓글 차단은 국가기구의 통제논리-제한적 본인확인제, 정보통신윤리위원회의 기능 강화-를 답습하듯 퇴행적이고 일방적으로 다가선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자구적으로 만든 이용자위원회도 제구실을 못하고 있다.
도대체 포털사이트가 말하는 공급자 중심이 아닌 이용자 중심의 사유와 뉴스편집은 어디에 있단 말인가? 도대체 그들이 미디어로서 퍼블릭 가치를 수행하고 민주주의를 견인할 소명을 갖고 있기라도 한 것인가?
덧글. 이미지는 미디어오늘 2007.10.10.
덧글. 대선미디어연대의 모니터링 전문파일(10MB)은 온라인미디어뉴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덧글. 네이버 뉴스팀은 12일 "親李 편집을 한 적이 없다"는 반박문을 대선미디어연대로 보내왔다.
'포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up4] 네이버 뉴스편집 '편파의혹' 양산 (0) | 2007.10.15 |
---|---|
포털뉴스 지각변동 하나 (0) | 2007.10.01 |
"포털이 '상생' 적극성 띠어야" (0) | 2007.09.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