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는 지난 8월 편집자 레터 '2007 대선뉴스 이렇게 운영합니다'를 통해 "네이버 뉴스는 하나의 이슈에 대해 다양한 언론사들의 보도와 논조를 종합하고 객관적으로 전달해 이용자들이 균형잡힌 정보를 얻도록 하는 목표를 최고의 가치를 생각하고 있다"는 원칙을 강조했다.
그러나 네이버는 대선 뉴스의 경우 워낙 첨예한 사안이기 때문에 별도의 '서비스 준칙'을 마련, 이를 공개했다.
서비스 준칙으로는 특정 후보자나 정당에 치우치지 않은 서비스(균형성), 에디터들의 독립성 보장, 확인되지 않은 정보나 소문에 근거한 기사인지 여부에 유의(정확성) 등을 정했다.
이에 따라 네이버 대선 뉴스 서비스는 후보 확정이나 사퇴 등 대형이슈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특정 후보의 기사노출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즉, 네이버 메인페이지 뉴스박스에서 특정 후보의 이슈를 확인하기 어렵게 된 것이다.
그 대신 네이버는 뉴스박스에서 정당별로 표시한 리스트를 제시해서 후보별 뉴스정보는 아예 노출하지 않는 형식으로 전환했다.
특히 정치 기사 댓글은 전부 '토론장'으로 통합했다. 이와 관련 네이버는 "네티즌들이 개별기사에 단편적인 의견을 표출하는데 그치지 않고 심층적 토론을 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실제 그런 내용으로 운용되지 않고 있다. 특정 인물에 대한 비방과 욕설, 음란적인 내용은 여전하다.
네이버는 "(개별 기사 댓글 서비스를 할 경우)특정후보 지지 비판 공방이 이어져서 네티즌들이 의도하지 않게 공직선거법 위반 가능성이 있어 이같은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라고 밝혔지만 '변명'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이때문에 일부에서는 오히려 네이버 뉴스편집의 편파성과 표현자유 침해를 우려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다양한 시각을 담아내지 못하고 기계적인 중립편집으로 포털뉴스 서비스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인 셈이다.
예를 들면 한나라당 후보경선 국면에서 터져 나온 이명박 후보의 경부운하 공약 공방이나 도곡동 땅 비리 문제 등은 뉴스박스 노출을 꺼리는 부분이나 최근 변양균-신정아 커넥션 의혹은 되레 두드러지게 편집하는 형식은 대표적인 사례다.(11일 오전 11시10분 현재 네이버 뉴스박스의 정치기사는 '변양균-신정아' 의혹만 2건 이상 노출돼 있는 반면 대부분은 경제, 연예, 스포츠, 문화 뉴스로 채워지고 있다.)
여기서 심지어 일부 보수매체와 통신사 뉴스로만 편집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즉, 대선후보를 검증하는 다양한 언론 기사들을 반영하지 않는 대신 정치뉴스의 선정성을 방조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무엇보다 네티즌들의 정치의견 개진은 원천 봉쇄해 포털뉴스에 '댓글' 서비스를 도입한 취지를 무색케하고 있다.
물론 네이버의 고충을 모르는 것은 아니다. 포털뉴스에 대한 비판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무리한 뉴스편집을 하는 것은 위험 부담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의 네이버의 대선뉴스 편집은 엄격한 공정성, 객관성에 치우쳐 정치뉴스의 다양성은 포기했다. 특히 네이버 뉴스박스를 통한 뉴스소비 패턴이 높은 현실을 감안할 때 군소 후보나 정당의 뉴스를 쉽게 클릭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 됐다.
포털뉴스가 대선시기 뉴스편집의 어려움을 덜고자 택한 방편이 또다른 문제를 낳고 있는 셈이다.
포털뉴스가 특정한 시기와 국면에 따라 뉴스편집의 원칙을 바꾸는 것은 이용자 처지에서도 납득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포털뉴스는 백여개 언론사부터 뉴스공급을 받고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언론사간 특정 후보나 이슈에 대해 서로 다른 시각을 갖고 있다.
또 이들 언론 중에서는 새로운 이슈를 제시하기도 하고 이용자들의 높은 반응이 일어나기도 한다. 포털뉴스가 이같은 언론사와 이용자들의 흐름을 외면하는 것은 포털뉴스의 정체성을 근본적으로 의문케 한다.
이런 식이라면 포털은 차라리 최소한 언론사 정치뉴스는 향후에도 제공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또 포털뉴스의 댓글 서비스는 중단하거나 언론사 해당 뉴스 댓글로 넘기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그리고 논란만 부추기는 뉴스박스(편집권)도 아예 포기해야 할 것이다.
결국 네이버 뉴스박스에서 나타나는 정치뉴스의 다양성 실종은 대선정국 전후 과정에서 이용자들에 의해 포털뉴스 전반에 대한 불신을 촉발하는 단초가 될 가능성이 높다.
포털뉴스가 쌍방향 플랫폼을 선도한 새로운 저널리즘을 시연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청맹과니'형 서비스를 고수한다면 실제 이용자들로부터 외면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국내 포털뉴스의 가두기식 뉴스 서비스의 끈질긴 생명력도 스스로 단축하는 결과를 맞게 될지 모른다.
'포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털이 '상생' 적극성 띠어야" (0) | 2007.09.21 |
---|---|
NHN-구글 진검승부 한다 (0) | 2007.09.07 |
언론과 포털은 적인가 (0) | 2007.08.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