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성격의 MBC 'TV 속의 TV' 프로그램은 봇물처럼 번진 토크프로그램 제작과 관련 대화의 트렌드를 진단하는 기획을 마련했다.
타인과의 소통인 '대화'는 '나'와 타인을 정의하는 작업이다. 단순히 웃고 떠드는 것이 대화의 전부인양 비쳐지는 TV 속 토크프로그램의 허와 실을 평가하고 개선책을 찾는 일은 중요하다.
왜냐하면 대화의 격을 높이는 일은 우리가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고 더 나은 관계를 맺는 일로 결국엔 성숙한 사회를 위한 밑거름이 되기 때문이다.
미리 전달받은 질문서에 답변을 정리했다.
요즘 TV 토크프로그램 수다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우선은 폭로적입니다. 타인의 사생활 들추기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또 사변적입니다. 자신의 이야기를 담담히 털어놓는 것입니다. 그리고 자기만의 특성을 발휘한 어투, 스타일이 내세워지는 등 개성적인 대화방식을 취합니다.
무엇보다 대화자의 표정, 어투, 눈물, 웃음 등이 진실하게 표출됩니다. 여기에 시청자나 방척객의 직접 참여하는 구조로 점수를 매겨 평가를 한다거나 미리 질문에 답변하는 형태를 취합니다.
또 토크프로그램이 비형식적인 설정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정해진 격식이 없고 말 중간에 끼어들기나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거나 애드립으로 대화를 처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박장대소나 슬립 코미디 같은 것도 연출됩니다.
과거에는 왜 헐뜯고 깎아내리는 수다가 없었다고 생각합니까?
방송은 정치, 사회, 경제, 문화상을 대변하는데 당시에는 권위주의가 팽배해 있었고 방송환경도 그러한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봅니다. 또 인터넷과 같은 쌍방향 미디어 환경이 없었습니다. 시청자가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이 부재했습니다.
방송 내적으로는 대화 프로그램이 빈곤했습니다. 다양한 토크를 연출하려고 하는 창의성이 부재했던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커텐이 쳐지고 응접실이 있는 등 전형적인 공간이 연출됐고 저명인사나 근엄한 사회자를 출연시키는 데 그쳤습니다. 대화를 콘텐츠로 보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던 것입니다.
호통치고 비아냥거리는 수다가 나오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사회적인 진보가 이뤄졌다고는 하나 아직 많은 부분에서 차별적이고 억압된 상황입니다. 무엇보다 바쁜 일상은 대화의 자유와 재미를 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타인과의 무한 경쟁에서 지쳐 가는 대중은 다른 사람들과의 대화에 진실한 대화에 거부감을 갖고 있습니다.
격식을 깨는 대화는 이러한 대중에게 대리만족을 줄 수 있습니다. TV에서 타인을 우스꽝스럽게 만드는 대화는 왕따를 당하거나 당할 우려가 있는 사회구조에서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부여합니다. 웃고 즐길 수 있는 대화의 부재에서 오는 허전함을 TV가 메꿔주는 것입니다.
여기에 방송 제작진도 일상생활에서 충분히 겪을만한 다이어트, 이성친구, 직장 등 가벼운 소재를 친근한 연예인들이 다뤄 종전의 거대담론이나 사회이슈 위주의 대화소재를 벗어났습니다. 시청자 역시 단순히 떨어진 객체가 아니라 참여와 평가를 할 수 있는 구조에서 대화의 주체가 돼 정당성을 갖게 됩니다.
헐뜯고 호통치는 수다의 장담점과 개선점은 무엇이라고 봅니까?
장점은 일단 대화가 갖는 독특한 재미를 터득하게 되는 것입니다. 대화는 상대와 즐기는 한 부분이라는 인식을 갖게 하는 것이지요. 삶의 청량제로서 대화가 자리잡는 것은 인간관계, 사회관계의 미래를 위해서 대단히 흡족한 일입니다.
그러나 이같은 상호 소통의 시대가 열렸음에도 호통과 비아냥, 조소와 희화화된 대화가 주는 메시지가 없다는 것은 아쉬운 일입니다. 연예인과 방청객들이 어우러진 웃고 흐드러지는 토크프로그램이 끝나고 나면 여운이 크지 않습니다.
대화라는 것은 단순히 즐기는 데서 한 차원 높은 것을 지향할 때 가치가 있는 것입니다. 호통, 비하, 비판 일색의 수다가 주는 즐거운 장점에도 불구하고 그런 대화방식은 시청자 스스로도 빠져들게 해 결국 나와 타인을 아무렇지 않게 상처주는 관계로 전이될 가능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심각한 무기라는 인식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앞으로 방송 제작진은 토크프로그램의 수위조절이라는 운영의 묘가 필요합니다. 시청자 참여를 보다 전향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패널 중에 일반 시청자를 참여시키거나 알멩이 있는 대화를 위한 중재자 또는 의미를 전달하는 장치가 마련돼야 할 것입니다.
시청자들은 현재의 토크프로그램을 어떻게 수용하는 것이 좋을런지요?
타인과 소통하는 것은 결국 상대를 배려하고 존중하는 토대 위에서 진행될 때 '이해'가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대화의 기본 예절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필요합니다. 폭력적 용어와 소통 방식은 진정한 교류가 불가능합니다. 오히려 나를 해치고 남을 해치는 것임을 자각해야 합니다. 고독과 소외를 벗어나는 길인 대화가 오히려 그런 잘못된 소통방식을 답습하면 고립을 자초할 수 있습니다. TV의 대화장치들을 무비판적으로 봐서는 안됩니다. 연예인들의 대화는 웃음을 위한 설정일 뿐이지 그것 자체가 대화의 메시지라고 오해해서는 안됩니다.
덧글. 이 인터뷰는 24일 MBC TV 'TV 속의 TV' 마지막 꼭지 내에서 다뤄졌다.
'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음란물 방치, 운영자는 나 몰라라 (0) | 2007.03.19 |
---|---|
EBS 지식의 최전선 'UCC' (0) | 2006.12.26 |
[펌] KBS 미디어포커스 인터뷰 (0) | 2006.1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