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line_journalism

인터넷신문업계 생존전략 모색중

by 수레바퀴 2007. 1. 23.
 

이 포스트는 온라인미디어뉴스 보도를 퍼 온 것으로, 지난주 오마이뉴스, 프레시안, 마이데일리 등 국내 독립형인터넷신문을 대표하는 3개사 오너와의 인터뷰를 토대로 작성된 것입니다.

참고로 온라인미디어뉴스 내용 전체를 가지고 온 것은 아니고 일부만 가지고 왔음을 알려드립니다.

지난 8일 현재 인터넷신문으로 등록한 매체는 631개. 일간신문 193개의 3배를 훌쩍 넘어섰다.

그러나 2005년 7월 신문법이 시행되면서 제도적 명문화를 거치며 양적으로 급성장한 국내 독립형 인터넷신문의 속살을 들여다보면 멍 자국이 선연하다.

오랜 수익모델 부재 탓이다. 대부분의 인터넷신문이 경영 적자는 물론이고 임금 미지급 사례도 빈번하게 일어나는 실정이다.

한국언론재단이 발간한 ‘2006 한국의 인터넷신문’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 경영성과가 적자였다고 응답한 인터넷신문사가 조사 대상사의 70%인 141개사나 됐다. 흑자는 30개사에 불과했다.

지난해 일본 소프트뱅크로부터 투자를 받으면서 시민저널리즘의 글로벌 비즈니스 가능성을 연 것으로 평가 받은 오마이뉴스의 경우도 최근 3년간 연속 흑자를 내다가 작년 결산 결과 소폭의 적자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초창기엔 흑자를 내던 프레시안은 재작년부터 중견 기자들을 영입, 공격적인 미디어 전략을 구사했다.

프레시안 박인규 대표는 “우수한 기자들을 통해 콘텐츠를 생산하면 광고 수입이 늘 것으로 기대했으나 결과적으로 긍정적인 결실을 맺지 못한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렇게 인터넷신문의 양대 보루인 두 매체가 적자를 낸 것과 관련 포털사이트의 인터넷 광고 시장 과점이 주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여기에 인터넷 광고 시장이 키워드 검색 광고로 정착되면서 뚜렷한 수익모델이 없는 업계 전체로 경영 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총 매출에서 광고 비중이 평균 60%나 돼 조기에 매출 구조 전환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오마이뉴스 광고영업 담당자는 “최근에는 네이버, 야후 코리아 등 대형 포털사이트가 중소형 배너 광고 시장에 진입, 출판(책) 부문 등 전문광고 영역도 빼앗기고 있다”고 우려했다.

저렴한 덤핑 광고와 무료 제안이 확산되면서 인터넷신문이 설 자리가 없어진 것이다.

그러나 오마이뉴스 오연호 대표는 “인터넷신문의 위기라는 데 결코 동의할 수 없다”면서 “종이신문 행태를 인터넷에 그저 옮기는 정도로는 성공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중략)

특히 ‘오마이뉴스 제팬’에 이은 글로벌 비즈니스에 주목하고 있다. 이미 내부적으로는 시민기자제 모델의 해외 수출을 위해 국제적 호환이 되는 솔루션 개발을 진행 중이다.

해외 컨설팅과 제휴의 비즈니스 모델을 본격화하겠다는 것이다. 또 국내외 시민기자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여행, 교육, 문화사업을 추진한다.

정통 저널리즘을 추구하는 프레시안은 논술 강의 등 이러닝 사업 개발에 주력할 방침이다. 또 보수 논조의 후발주자인 데일리안은 충성도 높은 이용자가 모이는 커뮤니티 사이트, 스포츠-생활-과학 콘텐츠 생산을 강화한다.

그러나 인터넷 미디어 시장이 연예, 스포츠, 동영상 콘텐츠를 중심으로 재편되는 상황에서 시사 콘텐츠를 다루는 인터넷신문 대부분은 여전히 시행착오를 겪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 인터넷신문 관계자는 “매체 영향력은 인정 받고 있지만, 그것이 실제 광고효과를 기대하는 광고주들에겐 어떤 의미도 없다”고 안타까워 했다.

전문성을 확보한 독립형 인터넷신문이 쏟아지고, 포털뉴스의 영향력이 급등하면서 인터넷신문의 기존 매출마저 흔들리고 있다.

프레시안 박 대표는 “인터넷신문에 대한 호의적인 시장문화가 자리잡지 않은 상황에서 긍정적인 M&A를 기대하기 어려워져 자금 조달 등 경영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진단한다.

프레시안은 최근 ‘프레시안TV’ 등 동영상 콘텐츠 생산을 추진하고 있다. 트렌드에서 밀릴 수 없어서이다.

더구나 지난해 12월 네이버가 뉴스 서비스 개편에 따라 아웃링크를 시행하면서 이용자가 일시적으로 유입되는 효과를 보고 있어 킬러 콘텐츠 확보는 무엇보다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중략)

데일리안 민병호 대표는 “비용 절감 등 규모에 맞는 경영전략을 세울 뿐 솔직히 갑갑한 실정”이라면서 “독립 채산제 형태의 전국 6개 지부를 중심으로 구축한 지방 네트워크를 활성화해 수익모델을 개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인터넷신문업계는 개별 매체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정부 차원의 뉴스 콘텐츠 유통 및 시설∙장비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다양한 틈새 영역으로 신선한 콘텐츠와 문화로 각광받아왔던 인터넷신문의 내실있는 성장을 위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대안매체로서 아마추어 시민기자들의 열정적인 참여로 미디어 영향력을 확보한 인터넷신문의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인터넷신문의 고성장 단계가 마감되고 저성장 단계로 진입했기 때문이다. 특히 블로그, UCC 확대 등 급변하는 인터넷 미디어 환경에 적극 대응하지 않으면 고사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건국대학교 신방과 황용석 교수는 “RSS 등 커스터마이징화된 뉴스 소비로 뉴스 사이트 종속성이 약해지는 등 이용자 분산이 이뤄지면서 업계간 양극화가 심화할 것 같다”면서, “이용자들의 달라진 뉴스 소비 패턴을 참작한 전략 마련이 급선무”라고 말했다.

출처 : 온라인미디어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