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털사이트

포털뉴스와 지방선거 연관성?

by 수레바퀴 2006. 6. 9.

포털사이트 뉴스편집의 정치적 편향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자유주의연대'는 7일 5.31. 지방선거기간동안(5월16일~30일) 매일 4차례(10시, 14시, 18시, 22시)에 걸쳐 5대 포털사이트 뉴스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하면서 "강금실 후보에겐 우호적, 오세훈 후보에겐 부정적"인 편집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또 박근혜 대표의 피습을 두고 노혜경 씨의 "성형도 한 모양..."은 미디어다음만이 다뤘다는 등의 내용을 가지고 "선거관련 정치기사 보도의 형평성에 적지 않은 문제점이 발견"됐고, "보도의 형평성 등 사회적 책임은 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자유주의연대'의 발표를 인용, 보도한 동아일보는 "포털 입맛대로… 정치기사 편향" 기사에서 "일본인 납북자 요코타 메구미의 부친 방한(지난달 16∼17일), 김대업 씨의 동생 군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채용 기사도 포털에선 비중있게 다루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또 중앙일보는 9일자 '포털사이트의 정치적 편향을 우려한다' 사설에서 "막연한 의구심이 구체적인 통계로 확인됐다"면서 포털사이트 뉴스가 여당은 호의적이고, 야당은 부정적으로 편집됐다"며 정치적 편향성 지적에 동조했다.

 

중앙일보는 "(포털사이트가) 중립성과 형평성이라는 보도의 기본 원칙을 어긴 것", "단순한 실수라고 보기 어렵고 정권의 입맛에 맞지 않는 기사는 의도적으로 누락시킨 냄새가 난다"고 공격했다.

 

그런데 '자유주의연대'의 모니터링 자료를 보면 5대 포털사이트의 메인페이지, 뉴스홈의 기사 출처에서는 연합뉴스, 동아, 중앙 등 기존 매체가 많았다.

 

선거관련 서울시장, 경기지사 후보자의 노출빈도에서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거나 오히려 야당 후보가 많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네이버에서 강금실-오세훈 기사 노출 빈도에 대한 집계를 보면 29:60, 진대제-김문수의 경우는 기사와 사진 노출에서 2:4로 한나라당 후보가 많았다. 이러한 경향은 파란과 네이트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자유주의 연대'의 포털뉴스 모니터링은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겸했는데, 양적 분석에서는 오히려 야당에 더 우호적이었던 것이다.

 

특히 여당 지지층들은 포털사이트 뉴스가 5월30일 강금실 후보의 마라톤 유세가 끝나던 명동 상황을 전혀 다루지 않았고, 박근혜 피습사건을 부각시켰다는 목소리를 냈다.

 

'자유주의 연대'측은 모니터링 총평에서 "정치기사 보도의 형평성에 적지 않은 문제점이 발견됐다"고 지적했지만 그 적지 않은 증거는 "메구미 부친 방한, 김대업 동생 군의문사위 채용 기사를 주요하게 노출하지 않은 것"과 "강금실엔 우호적이고, 오세훈엔 부정적인 기사가 노출됐다"는 것이 전부였다.

 

이와 관련 한 포털사이트 관계자는 "자유주의 연대는 포털사이트 뉴스편집이 편향돼 우려된다고 했지만 선거결과는 오히려 싹쓸이로 나오지 않았느냐"며 "포털은 적어도 선거와 관련 영향력이 없다"는 증거가 아니겠느냐고 꼬집었다.

 

또 다른 포털사이트 관계자는 "민언련, 기자협회보 등에 따르면 조선-중앙-동아, 방송사 등이 오히려 지방선거 기간 동안 형평성과 중립성을 훼손했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지 않느냐"며 기성언론에 화살을 돌렸다.

 

"대선은 포털이 결정한다"고 주장해온 한 논객은 조선일보 시론 '포털과 청와대의 신권언유착'을 통해 "청와대가 올해초 4대 포털사이트에 블로그를 개설한 것은 권력이 새로운 언론권력으로 떠오른 포털과 손 잡으려는 것"이라고 경계했다.

 

두 가지 측면에서 잘못 판단한 것이다.

 

첫째, 국정은 이제 하나의 콘텐츠이고 국민과 만나야 한다. 과거엔 그 역할을 기성언론이 도맡아 왔다. 그러나 지금은 오픈미디어인 인터넷이 중요한 미디어가 됐다. 콘텐츠를 제공하는 공급자의 처지에서 이들과 만나는 것은 전혀 잘못된 것이 아니다.

 

또 정치권력이 포털사이트를 쉽게 장악할 수 있다고 보는 것도 무모해 보인다. 포털사이트는 이용자들의 방문, 그리고 부가적인 비즈니스와 콘텐츠를 통해 성장하는 것이지 과거 권언규착 시절처럼 권력과 밀월관계로 성장하는 기업도 아니다.

 

유권자인 이용자들 역시 이미 스스로 창조하는 지식대중이다. 지식대중은 포털사이트의 뉴스편집에 휘둘리거나 특정 매체의 논조에 속아 넘어가는 집단도 아니다. 정치, 특히 선거는 유권자의 정서에 부합한 정파가 승리하는 정치 이벤트에 다름아니다.

 

한국언론이 포털사이트에 (유통영역에서) 종속된 것은 일견 타당한 지적이다. 그러나 그것은 한국언론이 인터넷 전략을 잘못 세웠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자체적인 혁신을 기울이지 않은 결과이다.

 

이에 따라 한국언론은 포털사이트와 관계 설정, 인터넷-뉴미디어 진입 등에 대해 나름대로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금은 그 과도기이다.

 

이러한 상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기보다는 지나치게 정치적으로만 해석하는 조중동, '자유주의 연대' 등의 관점이 오히려 염려스러운 대목이다.

 

지식대중은 합리적, 상식적으로 움직인다. 인터넷이 보수화하느냐 진보적이냐는 논란은 중요하지 않다. 정당, 정치인, 제시민단체, 언론 등이 변화하는 지식대중에 부응하는 콘텐츠를 생산하느냐가 중요하다.

 

새로운 보수를 주창하는 정치적 결사체, 가장 많은 독자를 갖고 있다고 말하는 큰 신문사들도 마찬가지다. 설익은 주장을 펴기 보다는 정말 좋은 콘텐츠를 만들어내고, 시장-이용자들과 소통해야 할 것이다.

 

한국경제 미디어연구소

최진순 기자

 

덧글. 첨부된 파일은 자유주의연대가 발표한 모니터링 결과 자료로 9일 오전 해당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