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드 미디어인 신문기업의 위기가 가속화하고 있다. 신문 구독자가 늘지 않고, 인터넷 등 뉴미디어의 시장잠식이 계속되고, 뉴미디어 투자여력 부족 등 내외부의 여건이 크게 좋지 않다.
신문기업이 뉴미디어에 대응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 1995년을 전후한 시점이다. 당시에는 국가사회적 네트워크 초기 단계에서 등장한 PC통신으로 뉴스 정보를 전송하거나 기업, 금융 등으로 정보판매를 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1995년은 웹 뉴스 서비스가 신문기업의 중심적인 과제로 떠올랐고, 대부분의 신문기업 내부에 관련 부서가 생겼다. 전담자들은 조사자료부, DB 및 전산 관련 부서, 과학부 기자들이었다.
이들이 신문기업 초반의 뉴미디어를 주도했다면, 1999년은 뉴미디어 부문에 새로운 인력이 유입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즉, 신문기업의 ‘분사모델’이 활발하게 도입되면서 대부분의 신문사가 인터넷 서비스와 비즈니스를 전담할 자회사를 분사시켰다.
이때 각 신문사닷컴은 웹 사이트의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해서 제휴기업을 늘리고 투자금 조기회수를 위해 다양한 비즈니스를 진행했다. IT붐에 따라 신문사닷컴은 거대한 수익원으로 부상하면서 내부적으로는 구성원들의 투자도 유도했다.
신문사닷컴은 이렇게 마련된 재원으로 직원수를 200여명 이상까지 늘리는가 하면 보험, 게임, 여행, 유통 심지어 프렌차이즈 사업을 진행하는 등 다양한 마케팅을 진행했다.
2002년을 전후로 이러한 상황에 중대한 변화가 도래했다. 월드컵과 대통령 선거 등 국가사회적 이슈에서 올드 미디어의 시장 내 영향력이 급감한 것이다. 특히 디지털 뉴스 콘텐츠 유통시장을 좌우하는 대포털 대응 문제나 자체적인 유료화 등의 이슈가 던져졌다.
이러한 과제를 풀기 위해 신문사닷컴들은 공동 보조를 맞추기 위해 월드컵 공동 이벤트, TF결성 등 여러 노력을 기울였으나 유통시장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는 없었다. 이미 신문사닷컴 별로 상이한 경영상의 문제로 공동대응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신문사닷컴들 중에는 다시 본사로 들어오거나 회사 내의 별도 부서로 만들어지는 등 ‘분사모델’의 변화가 진행됐다.
2004년 서울신문이 인터넷자회사를 청산하고 일시적으로 뉴스 서비스 자체를 포기하기까지 했다.
특히 연예, 스포츠, 경제, 시사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인터넷 신문들이 창간되면서 신문시장 자체의 위기를 심화시켰다.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만 생산, 포털에 제공하는 인터넷 신문이 득세하면서 기존 신문사닷컴과 독립형 인터넷신문들도 이러한 서비스를 보완하는 상황도 연출됐다.
그러나 지난해부터는 신문기업 차원에서 뉴미디어 전략을 가다듬는 ‘숨고르기’가 진행됐다. 특히 국민일보 뉴미디어센터, 조선일보 유미디어랩, 중앙일보 JES, 한겨레신문 통합뉴스룸 천명 등 숨가쁘게만 진행되던 뉴미디어 전략이 ‘체계’를 잡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 시도들은 신문기업이 전혀 손대지 않던 영역인 비디오 뉴스를 비롯, 탐사보도의 디지털스토리텔링 기법 적용 등 ‘온라인저널리즘’으로의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콘텐츠’ 자체의 변화에 주목한 실천들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현재 올드 미디어들의 뉴미디어 전략은 크게 통합뉴스룸 구축, UCC 기반 강화,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산으로 모아지고 있다.
통합뉴스룸은 한겨레신문과 같은 온오프라인 조직의 물리적 통합, CBS의 유비쿼터스형 기사생산 프로세스 등 기능적 통합, 조선일보내 편집국에 인터넷뉴스부를 두는 간접적 통합, JES같은 계열사 콘텐츠 흐름을 조율하는 외부형 통합 등으로 흐르고 있다.
2000년 초반부터 기자 커뮤니티 등 온라인용 오피니언 서비스는 독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블로그로 진화하고 있다. 조선일보는 아예 이용자들이 동영상 콘텐츠를 올리고 함께 정보를 공유하는 사이트를 인수하는 등 IPTV, 모바일 등 향후 시장을 고려한 직접 투자로까지 확대되는 양상이다.
특히 조선일보, 동아일보, 국민일보 등은 별도의 뉴스 브랜드(갈아만든 이슈, 쿠키뉴스, 동아e TV 등으로 동영상 뉴스에 대한 구체적인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편집국 내부에서 비디오 콘텐츠 제작 이전에 온라인 인력과 협의하는 등 신문의 특색을 살릴 수 있는 형태로 차별성을 기하고 있다.
하지만 신문기업의 뉴미디어 전략과 실행은 상당한 한계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빠르게 진행된 통합뉴스룸은 여전히 내부 조직간의 융화를 저해하는 복병으로 등장하는가 하면, 일방적인 전략수립과 실천으로 사업실패와 경영위기를 초래하는 암초로 인식되고 있다.
이 때문에 신문기업은 내부의 사람, 조직, 자원의 혁신을 통해서 뉴미디어 전략을 차분히 수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경쟁력 있는 종이신문을 무엇보다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신문기업간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고 경영위기가 변곡점에 이른 만큼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최근 정부는 신문발전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신문사업 진흥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이 중에서 시급하게 정리될 부분의 일간신문사의 방송, 통신사 겸영 및 겸업 금지는 지나친 제약이다.
시장 독과점을 막고 미디어 다양성이라는 원칙을 지키는 선에서 소규모 신문사나 여러 형태의 컨소시엄일 때는 참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통신방송 융합이 거세게 진행되는 국내에서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또 신문이 뉴미디어 관련 투자를 진행할 때 그것이 공공적이고 디지털 뉴스 콘텐츠 시장 전반에 유용하다고 판단된다면 관련 세제지원이나 콘텐츠 구매에 정부 부처가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
현재 신문기업이 디지털 뉴스 콘텐츠를 판매하는 곳은 포털 사이트를 제외하면 거의 없다. 물론 일부 대기업이 콘텐츠를 구매하고 있지만 그것은 대단히 미미한 수준이다.
정부 부처를 비롯 지자체, 대학-연구소 등 공공기관이 디지털 뉴스 콘텐츠의 안정적인 고객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공공시장 창출에 적극 나서주어야 할 것이다.
신문관련 콘텐츠 매출은 2004년 기준 500억 수준으로 전체 디지털 콘텐츠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8%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B2G, B2B 등의 시장에서 디지털 뉴스 콘텐츠 시장은 약 1,600억원 규모로 집계되고 있다. 시장은 앞으로 더욱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무단 도용 등 디지털 뉴스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침해로 상당한 규모의 시장을 잃고 있다. 음원, 영상물 못지 않은 국가기관의 감시감독이 필요하다. 신문기업의 뉴미디어 전략은 디지털 뉴스 콘텐츠의 신뢰도, 국가사회적 중요도에 비추어 저평가돼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국면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언론산업에 대한 비정치적 접근이 요구된다. 특히 디지털 영역에서 신문기업간 양극화는 종이신문 시장의 독과점화 못지 않게 또다른 사회문제를 낳을 수 있다. 지식시장의 일원으로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지원책과 시장감시가 있어야 할 것이다.
한편, 올드 미디어도 충분한 시장 조사와 수용자 니즈 파악을 통해 뉴미디어 시장에 대한 전략적 진출을 해야 한다. 지금까지의 뉴미디어 투자가 일방적이고 즉흥적이었다면, 앞으로 진행되는 것은 거품을 없앤 ‘알짜배기’ 투자가 진행돼야 할 것이다.
‘뉴미디어’ 시장에서 신문기업이 수익을 거둬들일 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전혀 다뤄보지 못했던 비디오 포맷과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에 집중적인 승부수를 걸어야 할 지 모른다.
때문에 우리에게 지금 필요한 것은 정말 무엇인지를 냉정히 점검해야 할 시점이 왔다. 과연 새로운 시장이 신문 기업에게 절대적으로 유의미한 장(場)인지 판단해야 한다. “100만부를 포기하고 1만명과 소통하는” 자세가 요구될지 모른다.
컨버전스 미디어 환경이 도래했지만, 신문기업에게 영원히 중요한 것은 신문을 지지하는 충성심 높은 신문 독자일 수 있기 때문이다. 신문 기업이 수행하는 뉴미디어 전략은 오히려 ‘올드 미디어 강화’에서 차분히 시작돼야 할 것이다.
한국경제 미디어연구소 최진순 기자
덧글. 본 포스트는 한국인터넷진흥원 주최의 모임을 위해 마련된 별도의 원고입니다.
덧글. 이미지의 출처
'Online_journal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포츠 신문 등 엔터테인먼트 올드 미디어의 생존 전략 (0) | 2006.03.20 |
---|---|
[펌] 언론사 블로그, 조선 '독주' (0) | 2006.03.15 |
신문기업, 콘텐츠 코디네이터 필요 (0) | 2006.0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