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자리 파문 보도 이후 온라인저널리즘의 문제
"오마이뉴스 분발 계기 삼을 때 인터넷신문 가치 지킬 수 있어"
인터넷신문 오마이뉴스의 '술자리 파문' 보도가 정치권에서 '음모론' 공방으로 이어지고 있다. 정치생명과 언론의 명예를 건 한판 승부는 당파성과 저널리즘의 정면을 파고들면서 심상찮은 후폭풍이 예고되고 있다.
특히 시민참여형 저널리즘으로 성장세를 구가한 오마이뉴스는 한나라당 의원에게 '황색 사이비 언론'이란 모욕적인 언사를 들어야 했다. 공교롭게도 한나라당에게 오마이뉴스는 노무현 정부에게 조중동과 다름없는 상대이니 감정적 언사는 깊어갈 수밖에 없다.
오마이뉴스는 전통적인 신문, 방송 저널리즘이 보여주는 정해진 규격의 리포트를 벗어나 현장의 분위기와 맥락에 근접한 보도의 경향을 보여줘왔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대학 강의 불발 해프닝도 그랬고, 탄핵반대 촛불집회도 실시간 중계보도하면서 독보성을 인정받아왔다.
오마이뉴스의 이러한 현장에 충실한 보도물은 기존 매체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된 뉴스와 수용자간의 거리감을 한결 좁혔다. 이 새로운 저널리즘은 "현장 분위기와 맥락 등을 보다 밀착하여 보여줌으로써" 뉴스와 뉴스에서의 정치인을 대중의 삶과 동일선상에 놓도록 한다(임종수 2005).
이때 묘사되는 현장은 세밀하게 전달되고 때로는 무의미한 것들까지 나열되기도 한다. 이번 '술자리 파문'은 공연한 시비거리로 치부될 수 있던 현장의 생생한 대화들이 실제로는 강력한 권력관계를 수반하고 있음을 다시금 증명해보였다.
정치인의 입장에서는 대단히 유감스러운 현상이 아닐 수 없다. 공인의 사적 영역이 여과없이 보도됨으로써 입게 되는 피해는 기성 매체의 조심스런 행간과 앵글에서는 상상하기 힘든 규모이기 때문이다.
술자리를 주도한 정치인이 먼저 '음모론'을 제기하고 '신문해체'라는 해괴한 다짐까지 나오게 됐다. 기성 언론인들도 자신들의 뉴스가치를 뛰어넘는 이른바 '현장저널리즘'에 대해 반감을 표명하고 나선다.
기성 매체의 언론인들은 가볍게 다뤄 빠지게 되는 부분을 재가공한 YTN의 ‘돌발 영상’에 대해 볼멘 소리가 터져나온 것도 같은 맥락이다. 기사화되기 전의 메모 형태로 전달된 정보를 보도하는 노컷뉴스나 쿠키뉴스의 일부 유형들도 전통적인 저널리즘과는 궤가 맞지 않는다.
이같은 보도의 양상들은 인터넷이란 공간의 특성을 활용한 것으로 숨겨지거나 누락된 현장의 사실을 드러냄으로써 "생각지도 않은 담론이나 해석이 도출"(임종수 2005)된다. 즉, 행사 과정 혹은 행사 이면에서 일어난 특정인의 말이나, 행동, 상황이 뉴스가 되는 것이다.
오마이뉴스의 '술자리 파문' 보도 역시 부적절한 언행, 피감기관과 정치인간의 '접대문화'는 물론이고 지역주의와 부조리한 (성차별 또는 권력)관계의 이면들을 적나라하게 노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과 반격이 있을 수밖에 없다. 현장소식에 충실하다보면 빠지게 되는 선정주의가 대표적이다. 또 이러한 뉴스의 제공과정에서 일어날 수밖에 없는 오류 이를테면 경험있는 데스크의 검증이 소홀해지거나 아예 노편집이 될 수도 있다.
자연히 인터넷신문 자체의 전문성 시비로 이어지게 된다. 일부 보수성향의 신문사닷컴, 인터넷신문은 '오마이뉴스'의 자질 문제 더 나아가 당파성을 건드리며 '동업자'를 공격하고 있다. 이에 대해 오마이뉴스는 사실조작은 없었다(현장에 충실했고)면서 전열을 가다듬고 있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이들의 싸움이 아니라, 오마이뉴스의 현장저널리즘이 정치와 대중을 어떻게 재설계하고 있는가이다. 정치가 대중의 삶과 가까워질수록 정치의 전모는 까발려지고 우열은 가려지게 된다.
조중동으로 대표되는 한국의 전통 저널리즘은 정치인을 영웅으로 만들기도 하고 오래도록 '용공'으로 낙인찍기도 했다. 이것은 되도록이면 정치(인)과 유권자를 멀게 두고 자신들만 아는 (현장) 정보들로 채워도 영향력을 유지하며 권력관계의 정점에 설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보도행태였다.
반면 오마이뉴스를 위시해 한국의 인터넷신문은 더 이상 전통적인 관계들이 유지해온 모든 관행과 은밀한 수작, 대화를 내버려 두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인터넷 신문들은 권력과 첨예한 긴장을 자초하며 단련된다.
4만여 뉴스게릴라 전체가 현재 오마이뉴스의 특정한 정치적 경향(tone)을 지지하지는 않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번 술자리 파문 보도를 거치면서 내부적으로 활발한 소통과 충돌이 일어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또 그것이 오마이뉴스 스스로의 명예와 가치를 지키고, 한국 인터넷신문의 현장저널리즘, 나아가 영향력을 확대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Online_journal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기성매체와 포털간 공존의 틀 마련하자 (0) | 2005.10.11 |
---|---|
신문의 위기, '종이'를 포기하는 각오로 혁신해야(II) (0) | 2005.09.26 |
[펌] 블로그 저널리즘 개화 가능성 (0) | 2005.09.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