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line_journalism

오마이뉴스 '시민기자제' 적합성 의문

by 수레바퀴 2005. 4. 18.

오마이뉴스, 이제 무엇을 할 건가?

인터넷신문 오마이뉴스가 정운현 국장 체제가 마감되고, 서명숙 씨를 새 데스크로 영입하면서 전환기에 이르고 있다.

오마이뉴스는 2000년 '모든 시민은 기자다'라는 오연호 대표의 기치에 의해 조직되고 서비스되면서 기성매체의 영향력을 압도하는 등 전대미문의 성가를 올렸다.

오마이뉴스는 창간 이후 수만명의 시민기자들의 자발적 참여에 힘입어 기성매체가 다루지 못하는 뉴스 콘텐츠를 생산, 서비스하는 등 한발 앞선 경쟁력을 선보였던 것.

'시민기자' 선점 효과 퇴색 시작

그러나 오마이뉴스는 이제 폭발적으로 늘어난 인터넷신문, 신문사닷컴, 방송-신문 융합 환경 등 가파른 경쟁구도에 놓이면서 차별성있는 콘텐츠의 비중이 줄어드는가 하면, 선점된 시민기자제의 힘도 약화하고 있다.

오마이뉴스 창간 당시 1~2개에 불과하던 인터넷신문은 현재 수백개로 늘어났을 뿐 아니라 오마이뉴스의 '시민기자제'를 원용하거나 응용한 뉴스 생산 방식을 도입한 인터넷신문이 커지면서 도전받은지 오래다.

시민기자들의 활약상도 오마이뉴스를 더 이상 유지하고 있지는 않은 상황이다. 오마이뉴스 콘텐츠는 더 이상 시민기자-아마추어들의 인터넷신문이 아니라 직업기자-전문가들의 영역으로 옮아가고 있다.

오마이뉴스 서비스에 시민기자들의 참여가 내용과 형식 면에서 확산되고 있다는 증거는 없다. 그것은 참여의 '사실'은 여전하지만, 그 양상과 시장 내 반영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시민기자'들은 '지식대중'으로서 더 많은 매체와 더 많은 영역으로 진출했으며 오마이뉴스는 지난 1~2년간 단지 '도약대'로서의 기능마저도 잃고 있는 것이다.

화석화하는 시민기자 고집

문제는 이렇게 시민기자라는 개념과 가치가 화석화하고 있는 데도 오마이뉴스는 '시민기자'의 가치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려 한다는 것이다.

최근 오마이뉴스 오 대표는 "어떤 매체나 채널을 추구하든 시민참여모델은 유효하다"면서, 현재와 같은 시민기자 기반을 그대로 유지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시민기자제'는 오마이뉴스에게 더 이상 적합하고 유효한 의미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시민기자 개념은 인터넷신문의 초기 구현 모델로서 '증거'될뿐, 그것은 성장 동력으로서 효력을 다했다고 본다. 그것보다는 시민기자 참여방식은 오마이뉴스 외곽에 새로운 네트워크로 구현해내는 것이 올바르다. 여기엔 시민단체 등 NGO와 전문가들의 참여를 개방적으로 보장하면서 외연을 확장시켜야 할 것이다.

즉, 오마이뉴스는 기존의 사변적 뉴스의 기능을 전략화하면서 차세대 인터넷신문은 전혀 다른 개념화를 시킬 필요가 있다.

로열티 살아있을 때 '구독료모델' 해야

이를 위해 시민기자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구독자 모델'로 변화시켜야 한다. 다시 말해 오마이뉴스는 이제 철저한 상업주의적 전략을 택하지 않으면 경쟁에서 밀려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오마이뉴스의 '자발적 구독료'는 가치와 슬로건에 의해서 향유될 수 있는 이른바, 80년대식 21세기 비즈니스에 다름 아니다.

이제는 차별성있는 콘텐츠와 상대적으로 많은 공이 들어간 기사들의 풀 텍스트(full text)를 우선적으로 유료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수만명의 시민기자들과 구독자들을 대상으로 '시장조사'와 콘텐츠 생산 비용을 계량화하는 작업을 기울여야 한다.

또 시민기자(의 뉴스 콘텐츠)들은 이제 다른 공간-상대적으로 개방된 UI(user interface)를 갖는 서비스 즉, 블로그 등에서 독립적으로 참여하며 선별적으로 채택되는 방식으로 보완돼야 할 것이다.

뉴스의 공공화가 관건

그리고 이 콘텐츠들은 공익과 공공적 관점에서 일정한 경향을 가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편집기능'으로 관리되면서 또다른 매체로 진화해야 할 것이다. 이 매체는 보다 공공적이며 사회의제를 다루는 것을 지향하는 정치적 네트워크가 돼야 할 것이다.

특히 수익모델 문제와 관련 오마이뉴스는 이른바 국제네트워크-세계화 추진과 병행하면서 해법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일본판 서비스, 세계시민기자포럼 개최 등 다양한 루트를 통해 확보할 것으로 알려진다.

또 DMB 등 차세대 매체환경에 적극 참여하는 등 발빠른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시민-NGO-전문가 네트워크를 키워야

그러나 이것은 원천적으로 국내 뉴스 시장에 대한 지나친 낙관 즉, 투자 및 회수 비용에 대한 절제되지 않은 판단에 근거한 것으로 보다 체계적인 전략과 집중이 요구된다.

멀티미디어형 뉴스 시스템 구축은 상당히 중요한 진보이지만 또다른 틈새의 영역으로 그 규모와 집중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또 '시민기자'에 대한 구상은 '지식대중'-전문가-NGO가 결합되는 조금 더 확증된 시스템에서 생각해야 할 것이다.

참고 기사 : 오마이뉴스 신임 편집국장에 서명숙 씨

참고 기사 : 공채, 방송기자와 방송작가

4.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