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포털의 뉴스 서비스에 '연예매체 집중 경향'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또 지방지·잡지 등 전문지는 거의 노출되지 않는 대신, 인터넷 전문 시사매체·연예매체가 포털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선택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14일부터 20일까지 1주일간 미디어다음, 네이버의 뉴스 서비스를 대상으로 모두 10명의 네티즌들이 각각 포털 사이트를 직접 모니터링하면서 확인됐다.
이번 모니터링은 포털 초기화면, 뉴스 초기화면, 정치섹션 초기화면, 가장 많이 본 기사 등의 페이지에서 각각 제공매체와 그 내용을 모니터링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우선 포털 초기화면에서 연예 기사의 비중은 네이버의 경우, 일반적으로 오전이 가장 높고(평균 40% 내외), 오후와 저녁으로 갈수록 크게 떨어지지만 평균 20% 선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디어 다음이 시간대와 상관없이 평균 30%의 연예기사를 편집하고 있는 것과 대비되는 것으로, 모니터들은 "포털 초기화면에서 전체 뉴스 기사 중 평균적으로 30~40%는 반드시 연예기사가 있다고 보면 된다"고 분석했다.
특히 ‘이미지’가 있는 기사의 경우 평균 80% 이상이 연예인 사진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엽기적이거나 선정적인 사진이 주종을 이루는 것으로 모니터링됐다.
그러나 연예기사는 포털 초기화면이 아닌 뉴스 초기화면(미디어다음 media.daum.net 네이버 news.naver.com)에서는 비중이 평균 10% 미만으로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디어다음은 뉴스 초기화면에서 주요 기사들(평균 11개) 중 연예기사는 모니터링 기간 중 한번도 등록되지 않았고, 네이버는 주요 기사들(평균 10~11개) 가운데 평균 1개 꼴로 등록됐다.
포털 뉴스 편집자들이 포털 초기화면에서만 연예기사를 집중 편집해 일단 뉴스 페이지로 이용자들을 끌어들이고 있는 편집 전략으로 분석됐다.
또 포털 뉴스에서 ‘연합뉴스’의 비중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네이버는 포털 초기화면과 뉴스 초기화면에서 평균 45% 이상이 연합뉴스로 채워졌다.
미디어 다음은 이보다는 조금 낮지만 전 시간대에서 평균 20% 정도가 포털 초기화면과 뉴스 초기화면에 연합뉴스를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포털 뉴스 페이지에서 인터넷 전문 매체의 약진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네이버 포털 초기화면의 경우 오전 시간(10시)에는 평균 40%(갯수로는 7개 이상) 이상이, 오후와 밤(8시 전후)은 각각 20~30%대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에 반해 미디어 다음은 전 시간대에서 16~30% 선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대비를 이뤘다. 또 포털 초기화면이 아닌 뉴스 초기화면에서도 전 시간대 기준 평균 30%선을 나타냈다.
특히 경제매체를 포함 인터넷 전문 시사매체의 약진이 두드러져 모니터링 기간 중 오마이뉴스, 노컷뉴스, 프레시안, 데일리서프라이즈는 각 포털에서 기존 중앙 일간지들의 자리를 뺏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전히 연예매체를 뺀 시사 전문 매체의 비중은 낮았다. 네이버의 경우는 평균 5~10%로 오후 시간대를 제외하면 뉴스 초기화면에서 노출 비중이 평균 5% 미만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매체군 가운데서는 마이데일리, 헤럴드 프리미엄, 폭탄뉴스(이상 네이버의 경우), 쿠키뉴스, 조이뉴스24, 팝 뉴스(이상 미디어다음)가 포털 초기화면에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일부 정치 논객 사이트에서 제기되던 보수적 편집 등 일정한 정치색이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과 관련 양 포털을 모니터한 네티즌들은 대체로 “무난하고 객관적인 편집”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오히려 미디어다음 정치섹션 페이지(http://news.media.daum.net/politics)의 경우는 모니터링 기간 중 전 시간대에서 조선-중앙-동아 등 기존매체가 평균 10% 미만으로 등록된 반면, 그 자리를 연합뉴스와 인터넷 시사 매체가 각각 평균 50%와 30%를 차지했다.
이 같은 현상은 네이버 정치섹션 페이지(http://news.naver.com/news/main1.php?mode=LSD§ion_id=100&menu_id=100)도 비슷해 오전 시간대 조선-중앙-동아가 평균 15~20% 정도의 비중을 뺀 것을 제외하면, 전 시간대에서 연합뉴스가 평균 50% 내외, 인터넷 전문 시사매체가 대략 25% 가량 주요기사로 등록되고 있음이 확인됐다.
특히 프레시안, 오마이뉴스는 네이버에서, 미디어다음에선 노컷뉴스가 선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중동 등 기존 매체의 영향력이 급감하고 있는 것과 관련 모니터들은 “미디어 다음이 네이버보다 그런 경향이 더 강하다”고 평가했다.
‘가장 많이 본 기사(뉴스)’는 네이버의 경우 연예매체가 평균 30%, 조선-중앙-동아는 10%, 인터넷 전문 시사 매체도 10% 정도로 나타났다. 이들 매체 중에는 오마이뉴스와 마이데일리, YTN(돌발영상)이 두드러졌다.
미디어 다음은 연예매체가 평균 30%로 네이버와 비슷하고, 조중동은 10% 미만, 인터넷 전문 시사매체는 15% 정도로 조사됐다. 미디어 다음에서는 ‘미디어 다음’과 쿠키, 조이뉴스가 선호됐다.
한편, 모니터링 기간 중 현안주제로 제시된 '독도 영유권 논란'에 대해서는 모니터들은 '미디어 다음'은 <日정찰기 독도 출현, 우리 공군기 "출격안해":노컷뉴스:3월18일 10시 정치섹션 주요기사> 등을 제외하면 “비교적 객관적인 편집이었다”는 의견이 많았다.
반면, '네이버'는 <정부, 독도문제로 제주 南영공 軍통제권 포기:경향:3월14일 12시-포털홈>, <교과서 왜곡, "정부 미리 알았다":YTN:3월16일 10시-뉴스홈>, <40년 ‘조용한 외교’ 실패 … 일본측 주장 빠르게 확산:내일신문:3월16일 12시-뉴스홈 탑 관련기사> 등 정부의 대응 미흡을 '자극적'으로 다뤘다는 의견이 잇따랐다.
이번에 처음으로 포털 뉴스 모니터링에 참여한 네티즌들은 미디어 다음은 한혜자(50代, 여, 서울), 띤(29, 남, 서울), 흰나리(40, 남, 서울), 최환국(30代, 남, 서울), 안주형(26, 여, 경기) 씨였다.
또 네이버는 홍현기(36, 남, 인천), 김경환(34, 남, 경기), 정진상(38, 남, 경기), 이승우(?,남,?) 씨 등으로 참여자들의 평균 연령이 30대 후반인 것이 특징이다.
이번 모니터링은 포털 뉴스 서비스와 관련 이용자인 네티즌들이 직접 그룹을 지어 참여한 첫 시도로 포털 저널리즘과 관련, 이용자 운동의 중요한 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
모니터링 내용과 형식에 대해 여전히 미흡한 부분은 다음 진행시에 보완해 나갈 예정이다.
끝으로 이번 모니터링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시고 연락주신 네티즌 독자들에게 다시한번 깊이 감사드린다.
참고로 이번 모니터링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됐다.
1. 내용 : 포털 뉴스 편집
2. 대상 : 미디어다음, 네이버
3. 세부 모니터링 내용 :
(1) 포털의 초기 홈페이지 : 특정시간대 연예기사 갯수 (이미지 및 롤링되는 기사 등 포함)
(2) 뉴스페이지의 홈페이지 : 탑 등 아래 주요기사의 매체명과 그 내용
(3) 정치섹션 페이지 : 탑 등 아래 주요기사의 매체명과 그 내용
(4) 가장 많이 본 뉴스(해당 페이지가 아니라 뉴스 초기화면의 좌측에 있는 코너에 나온 기사, 미디어다음 12개, 네이버 8개) : 연예기사 갯수, 해당 기사를 보낸 매체명
(5) 특정 현안에 대한 뉴스 편집 경향 분석(주관화)
4. 모니터링 방법
(1) 기간 및 횟수 : 3월14일부터 20일까지 총 7회 / 1일 최대 2회
(2) 모니터링 시간대 : 오전 10시, 낮 12시, 오후 2시, 오후 4시, 저녁 6시, 밤 8시
-> 총 여섯개 시간대에서, 총 7회 하시면 됩니다.
-> 단, 특정 시간대는 반드시 4회 이상을 하셔야 합니다.
(3) 특정 이슈 지정 - 모니터링 기간 동안 특정 이슈 1개를 전달. 해당 이슈에 대한 포털 뉴스 편집 경향 정리
5. 모니터링 모집
(1) 2월 한달 동안 블로그 등에서 공개 모집
(2) 이메일과 전화 등으로 세부 사항 확정
6. 모니터링 결과 정리
(1) 각 포털마다 5명씩 전담시킨 뒤 전달된 결과물 중 시간·내용이 중복된 것은 배제함
(2) 오전-오후-밤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내용을 선별해 같은 시간대의 포털과 비교함
'포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털 뉴스는 이용자-포털간 소통의 산물" (0) | 2005.03.24 |
---|---|
[up]포털 뉴스 모니터링 14일 시행 (0) | 2005.03.13 |
포털 저널리즘 '비판' 본격화 (0) | 2005.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