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line_journalism

신문은 망한다

by 수레바퀴 2004. 8. 24.

신문기업이 한계산업으로 진입한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이러한 경향은 한국에서는 정치권력과 무관하지 않고, 또 경제성장세와 연결돼 있는만큼 피할 수 없는 현실로 받아들여진다.

우선 김대중-노무현 정부로 이어진 비주류세력의 권력장악은 오랜 시간동안 정치사회적 영향력을 등에 업고 안이한 전략과 사업으로 안주해온 신문기업에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무엇보다 인터넷과 같은 새로운 미디어 환경이 확산되면서 경쟁력과 비전을 잃은 신문들이 속출하고 있다. 뉴미디어 환경에 부응할 수 있는 인프라가 미흡하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까지 지속되는 경제상황 악화는 광고매출 격감과 신문독자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지식대중과 그들의 노고로 만들어진 인터넷 언론은 전통적인 신문기업의 영향력을 감소시키고, 광고주들을 이탈시키고 있다. 온라인의 격전장에서 포털과 같은 정보의 메카들이 신문기업을 구조적으로 압도하고 있다.

이렇게 된 것은 새로운 질서가 오는 데도 한국의 신문기업의 대응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지금도 신문기업은 '망해가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망하는 것을 고수하고 있다.

첫째, 과거지향적 신문기업의 콘텐츠를 꼽을 수 있다. 시대가 변하고 있다. 신문기업이 이같은 신질서에 반대한다고 해서 달라질 수 있는 환경이 아니다.

한국적 특수성이 창출한 콘텐츠인 반공-냉전 콘텐츠를 고집하는 언론들이 시장지배를 하고 있고, 여타 신문기업도 기계적으로 따르고 있다.

이러한 콘텐츠는 다양성과 글로벌 지식으로 무장한 대중들에게 결코 수용되지 않는다. 콘텐츠가 남루한데도 신문기업의 경영진들은 신문을 팔아오라고 내부 부서와 구성원들에게 요구한다.

이것은 시대를 선도할 미디어의 넌센스다. 과거지향적 콘텐츠를 만들고, 과거의 플랫폼을 활용하는 마케팅에 기반하면서 어떻게 시장에서 기업으로 생존할 수 있겠는가?

새로운 환경에 맞는 이념과 문화, 정서를 담은 콘텐츠를 생산해내야 한다. 한국의 신문기업은 적어도 구태하다.

둘째, 내부 조직이 혁신되지 않고 있다. 새로운 플랫폼에서 독자들이 콘텐츠를 만나고 있고, 이러한 경향은 심화할 것이다. 그러나 신문기업은 현재까지도 print에 고집하며, 전력하고 있다.

일례로 한 신문의 편집국 기자는 200명이 넘지만 뉴미디어 인력은 5명도 되지 않는다. 총매출의 1%도 뉴미디어에 투자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서비스를 강화하자고 한다.

이러한 오류를 시정하는 노력도 없고, 고민도 없다. 오직 paper에 투자하고 여기서 승부를 걸자는 주장이 아무런 반대없이 횡행한다.

현재의 신문기업이 앞으로의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적어도 구조의 축을 온라인-오프라인에서 절반씩 나눠야 한다. 매출의 30%를 온라인에 투자해야 한다.

디지털스토리텔링 기법이 현재 선진 신문기업의 저널리즘을 수행하는 도구로 시도되고 있다. 국내 신문기업의 제작환경, 나아가 저널리즘 환경은 프린트물 위주이다.

독자들의 기대치와 멀다. 일부 대규모 신문기업에서 제휴와 결합으로 콘텐츠 생산 플랫폼을 개선시키고 있지만 속도는 더디다.

그것은 기존 조직이 그러한 신기술에 대한 공포감을 갖고 있는 데다가 새로운 혁신의 기법이 급격하게 진행되면 조직에서 퇴장되지 않을까 하는 인식 때문에 확산도 쉽지 않다.

신문기업이 콘텐츠의 내용을 미래지향적인 것으로 바꾸면서, 그 플랫폼도 진보적인 것으로 설계하기 위해선 재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선 인식전환이 선결과제여야 하는데, 누가 먼저 새로운 전략을 설계하고 내부 조직을 혁신하느냐, 투자의 우선 순위를 바꾸느냐가 뒤따라 이어질 것이다.

그러나 총매출의 일부를 이러한 구조를 위해 투자해야 한다는 인식전환도 되지 않는 마당에 일러 무엇 하겠는가. 신문기업이 바닥으로 돌진하고 있는 꼴이 역력하다.

셋째, 콘텐츠를 바꾸고 조직을 일신하는 것 못지 않게 시장을 개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신문기업은 한계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다.

총알받이가 되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데 죽지 않으면 그것은 신이다. 그러나 신문기업은 신이 아니고 기업이다. 쓰러질 기업이 나올수밖에 없다.

시장 개혁에 신문기업이 나서야 한다. 조중동 등 대표적인 메이저 신문기업이 그것을 전략적으로 허용하지 않는 것은 그야말로 전략적인 넌센스다.

현재의 신문시장은 조만간 조중동을 포위하고 나서는 구조가 될 것이다. 최근 지방신문기업들이 결속하고 있다. 우선 온라인이 결합했고, 지방신문 발전방안도 심도깊게 논의되고 있다.

중앙이 로컬을 장악한 시장구조도 언제까지나 지속되지 않을 것이다. 중앙의 마이너 신문기업들이 조중동을 향한 포문을 연 것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최근의 경향은 분노에 가깝다.

신문기업이 갈등적 국면으로 치닫고, 공존의 모델을 찾지 않는한, 신문기업은 한계 시장으로 조기에 전락할 것이다.

우리는 그런 것을 막는 공동의 연합을 최근 스포츠닷컴들의 대포털 계약 파기로 확인하고 있다. 논란은 있지만, 콘텐츠를 제값에 받고 팔고, 시장에 유통시킬 수 있는 환경, 나아가 현재의 시장구조를 혁신하는 노력은 온라인-오프라인에서 계속 일어나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큰 신문기업이 작은 신문기업 또는 온라인 매체를 접수하는 수준으로밖에 일어나지 않고 있다.

신문기업이 새로운 플랫폼에서 위상을 갖추고 전통적인 프린트 환경에서도 우호적 환경을 갖춰야 하는 결정적인 이유는, 이용자들이 현재의 시장문화 내에서는 신문기업이 생산하는 콘텐츠를 '푸대접'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용자들은 문장 몇 줄이 다르고 사진은 비슷한 콘텐츠에 식상해 있다. 전문성과 차별성을 가질 수 있는 콘텐츠의 혁신, 이의 생산-유통-CRM 환경의 개선 못지 않게 시장구조가 변화하지 않으면 앞의 노력이 허사로 돌아간다.

시장에 팔리지 않고, 독자에게 다가가지 않는 환경에서 무엇을 이룰 수 있겠는가?

앞의 노력없이는 신문기업은 망한다. 망해가는 기업에서 망하는 노력만 하고 있는데도, 아무렇지 않게 돌아가는 신문기업이 영원히 사라지는 순간을 볼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

위기감은 혁명적 변화로 이어져야 참다운 위기인식이다. 신문기업 종사자들은 과거에도, 지금도 그것이 부족하다. 최근에는 아예 없는 것은 아닌지 생각할 정도다.

www.seri.org/forum/media

 

댓글